청정수소 60만t 생산, '수소경제' 선도'생산-사업개발-기술 발전' 역량 집중"그린 순환 생태계 구축 통해 국내 30% 공급 책임 질 터"
  • ▲ 롯데케미칼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₂'를 발표했다. ⓒ롯데케미칼
    ▲ 롯데케미칼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₂'를 발표했다. ⓒ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2030년 탄소 중립성장 달성과 함께 국내 수소 수요의 30%를 공급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친환경 수소 성장 로드맵 'Every Step for H₂'를 발표했다.

    롯데케미칼은 2030년까지 약 4조4000억원을 단계적으로 투자해 약 3조원의 매출과 10%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실현할 계획이다.

    14일 롯데케미칼에 따르면 2월 롯데 화학BU는 기후위기 대응, 그린 생태계 조성, 자원 선순환, 친환경 사업 추진을 골자로 하는 ESG 경영전략 및 친환경 목표인 'Green Promise 2030'을 선언했다.

    이번에 발표한 수소 로드맵은 2030년 탄소 중립성장에 이어 2040년 탄소 중립을 이뤄내고 환경 영향 물질 저감과 함께 친환경 사업 매출을 증대시키겠다는 수소 사업 목표와 추진 방향을 구체화한 것이다.

    롯데케미칼은 △대규모 소비처 △대량 공급망 △친환경 기술 등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수소 사업 로드맵을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롯데그룹의 물류 및 유통 인프라와 사업장 내 연료전지 및 터빈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소비처와 수소 충전소 및 발전소에 대량으로 공급이 가능한 대규모 보유망을 갖고 있다.

    수소탱크, 탄소 포집 기술 및 그린 암모니아 열분해 등의 친환경 기술 역량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청정수소 생산 ▲수소 활용 사업 ▲수소 사업 기술 발전을 주도할 계획이다.

    먼저 청정수소 생산을 선도해 2030년까지 60만t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생산 중인 부생수소를 기반으로 2025년까지 탄소 포집 기술을 활용해 블루 수소 16만t을 생산한다. 2030년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완성함으로써 블루 수소와 그린수소(44만t)가 혼합된 60만t 규모의 청정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국내 수소 활용 사업도 견인한다. 2024년에는 울산 지역 연료전지 발전소 운영을 시작한다. 2025년까지 액체 수소 충전소 50개를 구축하고, 점진적으로 2030년에는 복합충전소를 200개까지 확대해 국내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형성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사업장 내 연료전지 발전소 및 수소터빈발전기를 도입해 탄소 저감된 전력으로 환경친화적인 공장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보유한 역량을 기반으로 수소 사업 기술 발전도 주도할 예정이다. 수소저장용 고압 탱크 개발을 통해 2025년 10만개의 수소탱크를 양산하고 2030년에는 50만개로 확대 생산해 수소 승용차 및 상용차에 적용을 목표로 한다.

    CCU/CCS(탄소 포집 활용·저장) 기술을 단계적으로 적용해 탄소 중립에 이바지하고 동시에 암모니아 열분해 및 그린수소 생산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선제투자의 관점에서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초기에 인프라 구축을 차질없이 추진하고자 한다"며 "그린수소 시대가 도래하면 생산된 그린수소를 기구축된 공급망에 투입해 수요자들이 탄소 걱정 없는 친환경 소비를 할 수 있도록 각 활용 부문에 적시에 공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롯데케미칼이 주도하는 그린 순환 생태계가 우리의 친환경적인 풍요로운 삶에 이바지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수소 경제 확대에 대비해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관계를 구축 중이다.

    3월에는 국내 화학업계 최초로 기체 분리막을 활용한 CCU 기술 실증 설비를 여수 1공장에 설치했으며 4월에는 삼성엔지니어링과 국내외 사업장의 에너지 효율화, 온실가스 및 환경 영향 물질 저감,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 개발, 그린수소 사업 및 기술 라이센싱의 공동 참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어 SK가스와 양사가 보유한 자원과 역량을 통해 기체수소 충전소 건설 및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를 시작으로 향후 협력체계를 확대하고 LNG 냉열을 활용해 생산된 액화 수소 공급 등 수소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사업 모델의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