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소 확대 개편장윤실 소장 “유전자 치료분야 촉진할 새 동력 될 것”
  • ▲ ⓒ삼성서울병원
    ▲ ⓒ삼성서울병원
    삼성서울병원은 첨단 바이오 및 재생 기술 동향에 발맞춰 기존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소를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소장 장윤실 소아청소년과 교수)로 확대 개편한다고 29일 밝혔다.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의 전신인 줄기세포재생의학연구소는 지난 2013년 희귀·난치 질환의 혁신적인 재생치료법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 첫발을 내딛었다.

    이번에 세포치료연구센터와 유전자치료연구센터를 신설하고, 기존에 있던 GMP세포생산팀과 함께 기초연구에서부터 사업화까지 ‘전주기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임상등급의 첨단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GMP시설은 지난 2016년 설립 이후 품질경영시스템(QMS), 품질위해관리(QRM) 등 글로벌 수준의 고도화된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 중이다.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업 및 임상시험용 CAR-T 치료제의 원료 세포를 글로벌 제약사에 공급하고 있다.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는 향후 치료제가 없는 희귀·난치 유전질환 분야에서 ‘세포 및 세포 유래 물질 연구, 유전자 도입 기술 개발, 유전자 치료제 디자인, 바이러스 벡터 생산 연구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미래 환자 맞춤 치료를 구현하여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세포∙유전자치료 전문 연구기관으로 발돋움하겠다는 각오다.

    유전자치료연구센터장을 맡게 된 이지훈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바텐병, 다논병, 근디스트로피, 뇌전증 등 임상적 미충족 수요가 큰 희귀 유전질환 극복을 목표로 ‘개인맞춤형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장윤실 소장은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는 기존 줄기세포 재생의학 연구 분야를 확대하여 만성, 난치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고 우리나라 의료 발전과 세포·유전자치료제 산업을 촉진할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규성 연구부원장(비뇨의학과 교수)은 “세포·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외부의 기업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공동으로 발굴하고 함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R&D 허브로 발전할 수 있도록 병원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