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플랫폼, 지역 배달대행업체 노조 통합"안전배달제 도입 투쟁" 선언"실효성 의문, 이미 플랫폼별 협상 진행"
  • ▲ 18일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배달플랫폼노동조합 출범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 18일 세종문화회관 앞 계단에서 배달플랫폼노동조합 출범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로 폭발적으로 성장한 한 해를 보낸 배달업계가 성장통을 겪을 전망이다.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플랫폼과 지역 배달대행업체에서 일하는 라이더들을 통합한 배달라이더 노조가 설립됐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 노조는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배달플랫폼노조 출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노조는 온라인 음식배달 시장이 약 20조원으로 급성장했지만 배달 노동자에 대한 처우는 열악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배달플랫폼 기업의 속도 경쟁이 라이더들을 사고와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며 지난해 8월 선릉역 사고와 지난 13일 영등포에서 일어난 사고를 예시로 들었다.

    노조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안전배달제 도입을 제안했다.

    안전배달제는 ▲시간당 배달 건수 제한 ▲적절한 수수료 ▲오토바이 유상종합보험 의무화 ▲기업 상해보험 의무화 ▲안전교육 의무화 ▲라이더의 안전 운전 등을 내용으로 구성됐다.

    노조는 "안전배달제는 안전한 배달을 위한 노동자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조치로 난폭운전과 사고를 줄이기 위한 사회적 약속"이라며 "이륜차 보험 공제조합 설립, 배달노동 인식개선 운동 등 기업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통합노조 출범과 안전배달제가 라이더 현실과 괴리가 있으며, 이미 플랫폼별로 노사협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라이더 30만명 시대지만 지금까지 노조 가입이 활성화 되지 않았던 것은 내가 원하는 시간에 내가 원하는 만큼 일하는 것이 가장 크다"라며 "노조가 주장하는 안전배달제에 시간당 배달 건수 제한이 포함된 만큼 과연 이게 본업으로 일하는 라이더들에게 득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적정 수준 배달료는 시장이 결정하는 것"이라며 "최근 배달 주문 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며 라이더가 부족해 평균 단가가 올라가고 있는데 이보다 수수료를 얼마나 올려야 적정 금액이 되는 거냐"며 의문을 표했다.

    현재 배달업계는 각 플랫폼 업체에서 지정된 노조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최근엔 우아한청년들이 민주노총 서비스일반노조 배달플랫폼지부와 노사협상을 통해 배달료 조정에 합의했으며, 쿠팡이츠도 '공동교섭단'을 꾸려 교섭에 나섰다.

    한편, 노조는 안전배달제 도입을 위해 오는 5월 1일 배달노동자 행진을 시작으로 전국 집중 조직사업을 통해 30만 배달노동자를 대표하는 조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