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월세거래 7.1만여건, 2011년 이후 최다'금천구' 월세 비중 최고, 새 임대차법 시행 여파올 대출규제 강화-금리인상에 월세 전환 더 늘듯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지난해 서울 지역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7만건을 돌파하며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크게 오르면서 월세 수요가 증가한 탓이다. 

    같은 기간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가 낀 계약이 차지하는 비중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1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월세가 낀 아파트 임대차 거래량은 이날 기준으로 총 7만107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1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통상 임대차 계약은 전세·월세·준월세·준전세로 분류된다. 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인 임대차 거래,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거래,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거래를 뜻한다.

    월세·준월세·준전세를 포함하는 지난해 전체 월세 거래량은 종전 최다였던 전년도 수준(6만783건)을 넘어서며 최다치를 경신했다.

    연도별 월세 거래량을 살펴보면 2018년 4만8000건대에서 2019년에는 5만건대로 올라섰으며, 2020년에는 6만건을 넘어서는 등 꾸준히 증가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낀 계약이 차지하는 비중은 37.4%로 집계됐다. 2019년 28.1%, 2020년 31.1%에 이어 2년 연속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에 이르렀다. 금천구의 경우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유일하게 월세 비중(56.1%)이 전세 비중(43.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세 거래량 역시 2020년 557건에서 지난해 2139건으로 4배 가량 증가했다. 종로구(43.8%), 중구(43.5%), 강동구(42.5%), 강남구(41.6%), 마포구(40.9%), 관악구(40.2%) 등도 월세 낀 계약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월세 거래량 증가 현상를 두고 계약갱신청구권제와 전월세상한제를 골자로 한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셋값이 급등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전셋값이 크게 오르면서 이를 감당하지 못한 세입자들이 월세 시장으로 대거 유입됐다는 분석이다.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조이기' 역시 월세 가속화 현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관측된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무주택 실수요자들의 전세자금 대출이 막히면서 '전세의 월세화'가 빨라지고 있다는 게 시장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신규 취급되는 대출에서 총 대출액이 2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 대상이 되는 등 대출규제가 한층 강화된 상태다. 

    여기에 기준금리 상승 압박도 계속되면서 계약갱신청구기간 2년이 도래하는 8월부터는 대다수 전세 수요가 월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올해도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되는 계약이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며 "아파트의 경우 순수 전세나 순수 월세보다는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를 받는 준전세·준월세 형태의 계약 비중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 월간시계열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월세 지수는 109.9를 기록,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12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