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위 소득 14.6%↑ vs 5분위 11.5%↑… 16.9兆 추경 효과도거리두기 완화로 지출도 6.2% 증가… 음식·숙박 지출 늘어상·하위 20% 소득격차 6.2배… 빈부격차 3개 분기째 개선세
-
올 1분기 가계소득이 1년전보다 10% 넘게 늘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완화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껑충 뛰었다. 16조9000억원의 1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으로 공적이전소득도 증가했다. 다만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상승) 상황에서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소득은 6.0% 증가하는데 그쳤다.빈부 격차는 3개 분기 연속으로 개선세를 이어갔다.◇가구소득 10.1% 증가…1분기 역대 최대폭통계청은 19일 '2022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482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1% 증가했다. 1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최대폭 증가율이다.근로소득은 306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0.2% 증가했다. 10% 이상 증가폭은 처음이다.자영업자 등이 벌어들인 사업소득은 86만2000원이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루두기 완화 여파로 12.4% 급증했다. 2010년 1분기(13.1%) 이후 최고 증가율이다.이전소득은 78만원이다. 7.9% 늘었다. 1추 추경을 통해 지급된 방역지원금 등 정부가 준 공적이전소득이 9.5% 증가한 탓이다.재산소득은 3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2.0% 줄었다.물가 상승분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6.0% 증가하는 데 그쳤다.1분기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349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1년 전보다 6.2% 증가했다. 소비지출은 253만1000원으로, 4.7% 늘었다. 1분기만 놓고봤을 때 2011년(5.2%) 이후 최고 수준이다.음식·숙박(13.9%), 교육(13.5%), 오락·문화(4.7%) 등에서 지출이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외부활동이 늘고 학원의 대면수업이 재개된 게 영향을 끼쳤다는 해석이다.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을 뜻하는 경상조세는 1분기 28.3% 늘었다. 사회보험료 지출도 10.3% 증가했다.다만 물가를 반영한 실질 소비지출은 1년 전보다 0.8% 증가하는 데 그쳤다.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 6.20배…1년 전보다 0.10배p 개선소득 분위별로 보면 저소득층인 1분위(소득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4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14.6% 늘었다. 1분기만 놓고봤을 때 2006년 이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소득 증가는 근로소득(34.2%)이 견인했다. 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올해 서둘러 진행한 재정일자리 사업과 무관치않다. 1분위 평균 가구원수는 1.48명, 가구주 나이는 62.6세다. 고소득층인 5분위(소득상위 20%)가 3.25명, 48.8세인 점과 문재인 정부에서 가구소득 관련 통계에 1인·농림어가를 포함한 것을 고려하면 1분위 근로소득 증가는 60세 이상 임시직 취업자 수가 많이 늘어난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5분위는 소득이 1083만3000원으로 11.5% 늘었다. 5분위 소득이 1000만원을 넘긴 것은 1분기 기준으로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임금 상승과 상용직 취업자 수 증가로 근로소득이 10.0%, 업황 개선으로 사업소득이 22.5% 각각 증가했다. 정부 지원금을 받은 자영업자가 많아 이전소득도 7.0% 늘었다.빈부 격차는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6.20배로, 1년 전보다 0.10배포인트(p) 내려갔다. 이 지표는 실질소득을 가구원 수로 나눠 1분위와 5분위를 비교한 것이다. 수치가 내려가면 그만큼 소득격차가 줄었다는 얘기다.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지난해 3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개선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