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中 주요 도시 봉쇄에 따른 국내기업 영향 발표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조치로 인해 국내 관련 기업 10곳 중 7곳이 매출액 감소 등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중국 투자·거래기업 700개사를 대상으로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에 따른 국내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조사 결과 중국의 도시 봉쇄가 기업의 경영환경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답변이 73.8%에 달했다.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이유는 '중국 내에서 생산되는 원부자재 조달 차질'(50.9%)이 가장 많았다. 이어 '바이어에 대한 납기 일자 지연'(14.9%), '일부 공장 봉쇄에 따른 다른 공장 운영 차질'(13.6%), '국내외 공장 가동 중단 또는 영업점 휴업'(7.0%), '비대면 경영활동에 따른 인력관리 곤란'(6.6%) 등의 순이다.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전후 1개월을 비교했을 때, 도시 봉쇄로 인해 응답 기업들의 매출액은 평균 ▲4.0%, 수출액은 ▲3.7% 감소하고, 생산비용은 2.4% 증가할 것으로 나왔다. 생산비용이 증가한 기업(69개사)들은 제품가격을 평균 2.8%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시 봉쇄로 인한 기업의 생산일수 차질은 평균 19.2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중국의 도시 봉쇄에 대해 '원부자재 선구매 및 충분한 재고 확보'(43.0%), '부품 수급문제 해소를 위한 공급망 다변화'(25.4%), '비대면 근무환경 조성 및 활성화'(7.0%) 등으로 대응 중이다.

    특히 도시 봉쇄 이후 생산비용이 증가했다는 기업은 원부자재를 1개월 이상 확보하고 있다는 기업이 47.9%로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조사됐다. 세부적으로는 ▲'1~2개월'이 30.4%로 가장 많고 ▲2~6개월 14.5% ▲6개월 이상 3.0% 등이다. 다만 응답 기업 중 21.5%는 '특별한 대책이 없다'고 답했고, 생산비용 증가 기업 중 30.4%는 '원부자재를 확보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중국 사업을 유지하겠다'(87.3%)는 의견이 우세하다. 하지만 응답 기업 중 11.7%는 도시 봉쇄 등 산업 환경 변화 상황에서 '중국 사업장을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사업장을 한국으로 이전하겠다'는 의견도 1.0%다.

    중국의 도시 봉쇄 대응을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중국 내 물류 원활화를 위한 지원 강화'(39.2%)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중국의 도시 봉쇄에 대한 신속한 정보 확보 및 공유'(35.6%), '중국진출 기업인의 생활안전 확보'(9.4%), '주재원과 가족 귀국을 위한 항공편의 제공'(6.8%) 등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