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예대율 100% 규제1분기 예대율 100.6%… 대출 더 늘릴 수 없는 상황은행권 밀린 수신, 증가율 1~2%에 그쳐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오는 7월 코로나19로 인한 예대율 적용 유예 종료를 앞두고 저축은행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올 들어 중금리 대출을 비롯해 대출 수요는 전반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수신규모가 크게 늘지 않고 있어서다. 시중은행과 인터넷뱅킹 등이 경쟁적으로 수신금리 인상에 나섬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축은행 상품에 대한 매력이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지난 4월 말 기준 수신액 증가율은 1.8%로 전달(2.1%)에도 못미쳤다. 특히 지난해 8월 5%를 넘어서며 크게 늘어났던 저축은행의 수신액은 올 들어서는 1~2%대에 머물며 증가세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는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시중은행이 경쟁적으로 금리를 올리고 있는데다 인터넷뱅킹마저 수신 유치를 위해 금리를 잇따라 올리면서 저축은행 상품과의 금리차가 적어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다음달부터 저축은행의 예대율 기준이 강화되는 데 있다. 예대율은 예금 잔액에 대해 은행이 빌려준 대출금 잔액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지금까지 저축은행은 코로나19 대출 지원 명목으로 최대 110%까지 늘릴 수 있었다. 하지만 다음달부턴 유예 기간이 끝나 기존대로 100%까지만 허용된다.

    하지만 1분기 기준 전체 저축은행의 예대율은 100.6%로 일부 저축은행들이 기준을 상회하거나 100%에 육박한 상황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국내 저축은행의 수신 잔액은 107조8595억원, 여신 잔액은 108조4723억원으로 예대율 100%를 넘기고 있다.

    특히 일부 대형 저축은행의 1분기 기준 예대율을 보면, SBI저축은행이 96.8%, OK저축은행이 97.1%, 한국투자저축은행 96.6%, 페퍼저축은행 93.1% 등 대부분 100%에 육박하고 있다.

    수익을 내기 위해선 대출을 늘려야 하는데 수신액 둔화 현상을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사업 전반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결국 저축은행들은 원활한 유동성 관리를 위해 중금리대출과 기업대출을 늘리는 한편, 특판 적금 상품 등 수신 상품 다양화를 통해 예대율 유지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최근 저축은행들이 약정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해지해도 높은 금리를 챙겨주는 상품들을 내놓고 있는 이유다.

    저축은행 한 관계자는 "예대율은 대형사를 중심으로 이미 100%에 맞춰 관리되고 있어 다음달에도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며 "다만 수신금리 경쟁이 심화되면서 수신이 이전만큼 들어오지 않는데 대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