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종합자산신탁 서비스 선봬…신탁 시장 본격 진출신영증권, 업계최초 자산승계 신탁 제공…종합자산관리 "신탁 인식·인지도 여전히 부족…참여 증권사 늘어야"
  • ▲ ⓒKB증권
    ▲ ⓒKB증권
    국내 증권사들이 신탁 서비스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이들이 증권사 중 상속·증여 신탁 서비스에 가장 빠르고 적극적인 신영증권을 따라잡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KB증권은 이달 초 개인뿐 아니라 기업 자산관리와 상속세 절세, 가족 생계 보장, 분쟁 방지 등 자산 승계와 관련된 해결책을 제공하는 ‘KB 인생신탁’을 출시, 종합 증여·상속 솔루션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었다. 

    기존의 신탁 상품·서비스는 금전을 기본으로 한 특정금전신탁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KB 인생신탁의 경우 금전·유가증권·부동산 등 수탁 가능한 자산 유형에 제한이 없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회사는 이번 인생신탁 출시를 위해 2년여간을 공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서비스는 상속, 증여, 후견 등 자산승계플랜의 다양한 기능을 고객 요구에 따라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속세 절세 ▲상속분쟁방지 ▲유류분 소송 방지 ▲조건부 상속 ▲가업 승계 등이 있다. 

    이외에 부동산관리서비스 및 변호사, 세무사 등을 통한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 또한 부가적으로 제공한다. 

    앞서 NH투자증권도 지난해 하반기 초고액자산가 전담 브랜드인 프리미어 블루 본부 산하에 ‘패밀리오피스지원부’를 신설했다. 패밀리오피스는 우수고객과 그 고객의 가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다. 세무 진단, 가업승계 등 가문 자산과 관련된 전반적인 컨설팅을 담당한다.

    이밖에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주요 대형 증권사들은 초고액자산가 고객을 대상으로 법무·세무·부동산·상속·증여 등을 도와주는 패밀리오피스 서비스를 강화, 고객 유치 선점에 힘쓰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들이 국내 종합자산신탁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경우 신탁 부문 선두인 신영증권에 도전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영증권은 지난 2017년 업계 최초로 자산 승계 신탁 솔루션 서비스인 ‘신영 패밀리 헤리티지’를 내놓는 등 신탁 기반 맞춤형 종합자산관리에 심혈을 기울여왔다. 특히 유언대용신탁을 선제적으로 운영하면서 고액 자산가 고객들을 상대하는 노하우를 쌓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영증권 관계자는 “대한민국이 저출산·고령사회가 된 만큼 생산연령 인구에 맞춘 현행 금융 서비스와는 차별화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신탁 시장에 뛰어들었다”라며 “신탁 사업은 당장 돈이 안 된다는 업계의 인식이 있었지만, 장기적인 안목으로 접근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증권사들이 신탁 서비스를 강화하는 이유는 국내 신탁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신탁 수탁고는 총 1238조39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3.0%(142조5639억원) 증가했다. 수탁고는 지난 2018년 833조2263억원, 2019년 923조6618억원, 2020년 1018조4576억원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규모가 늘었다. 

    신탁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자산관리와 상속 수요 증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에 비해 고액 자산가가 대폭 늘어나면서 이를 관리하고 자손들에게 물려주고 싶어 하는 수요층이 늘었다는 분석이다. 

    다만 증권업계가 신탁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높지 않다. 업권별로 보면 현재 은행 점유율이 42.7%로 가장 높고, 부동산신탁사 30.0%, 증권사 25.6% 순이다. 

    신영증권 한 관계자는 “최근 KB증권이 종합 증여·상속 솔루션 서비스 시장에 진출한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이는 업계의 일원으로 봤을 때 오히려 긍정적인 소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 신탁 시장은 글로벌 시장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아직도 자녀에게 자산을 물려줄 때 유언대용신탁을 찾지 않고 단순히 유언장을 작성하는 비중이 크다. 이는 신탁에 대한 인식과 인지도가 부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증권업권이 신탁 시장 내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선 더 많은 플레이어의 참여가 필요하다”라며 “경쟁은 어느 정도 파이가 더 커진 이후에나 생각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