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평균 원달러 환율 1144원에서 현재 1400원 육박원자재 대부분 수입에 의존… 환율 부담 직격탄정부 사실상 가격 통제 선언에 커지는 이중고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정부가 최근 식품업계의 가격인상을 정면으로 겨냥, 담합여부에 대한 점검을 예고하면서 식품업계가 속앓이를 하고 있다. 상반기에 급등한 곡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 이어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가 압박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목전에 두면서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한미 금리역전이 유력해지면서 환율상승이 더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중이다. 정부가 가격 인상을 틀어막은 사이 경우 원가 부담은 고스란히 식품업계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주요 식품기업 A사는 최근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내부적으로 위기관리가 한창이다. A사는 최근 환율 급등이 시작되자 전사 위기대응 시행 1단계를 선언하고 강도 높은 공급망, 재고, 투자, 비용의 관리를 진행 중이다. 

    위기대응 1단계에서는 투자의 우선순위를 고려해 낭비요인을 제거, 전략적 효율적 예산집행 등을 지침으로 내걸었다. 대내외 경영상황 더 악화될 경우 위기대응을 2단계로 상향하고 필수 투자 외에는 일제히 재검토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사례는 드물지 않다. 식품업계에서도 사업구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환율 리스크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 적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국내 식품업계는 원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반기 들어 국제 곡물가격이 안정화 추세로 접어들고 있지만 문제는 환율이다. 국제 곡물의 거래 통화가 대부분이 달러로 이뤄지기 때문. 상반기 평균 원달러 환율이 1232.94원인 것을 감안하면 현시점에서는 달러당 100원 이상 증가했다. 지난 19일 원달러 환율 종가인 1393.6원은 상반기 평균 대비 13.1% 증가한 규모다. 지난해 평균 원달러 환율 1144.42원과 비교하면 21.8% 증가했다.

    하지만 이보다 불안감을 부채질 하는 것은 원달러 환율의 상승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다음 주 미국의 방준비제도(Feb)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한 상황에서 인상 규모에 따라 환율이 연말에는 1450원까지 갈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수출기업에 있어 원달러 환율 상승은 호재일 수 있지만 내수 비중이 높은 식품업계 특성상 전반적으로 경영환경 악화로 작용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 가격인상 이후에도 원가구조가 악화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가격인상을 직접 통제하고 나섰다는 점은 고스란히 식품업계의 이중고가 되고 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지난 19일 민생물가 점검회의에서 “최근 일각의 가격인상 움직임은 민생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물가 안정 기조의 안착을 저해할 수 있다”며 “부당한 가격 인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현안 분야별로 담합 등 불공정행위 여부를 소관부처와 공정위가 합동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담합 혐의까지 조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사실상 가격인상의 구두개입에 나섰다는 평가다. 환율 상승에 따른 원가가 상승하는 부담을 고스란히 기업이 짊어지라는 압력이다. 이런 강경한 정부 기조에 맞설 기업은 많지 않다.

    식품업계 다른 관계자는 “통상 식품업계가 6개월 단위 계약을 맺고 정산한다는 점에서 아직 환율 급등에 대한 악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곳도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대처가 불가능한 환율에 대한 이슈에 대해 가격에 대한 통제가 가시화되면서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