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우 의원 “부실 여부 따라 임직원 성과급 환수해야”
  • ▲ 증권가가 밀집한 여의도 전경. ⓒ정상윤 기자
    ▲ 증권가가 밀집한 여의도 전경. ⓒ정상윤 기자
    국내 9개 증권사들이 최근 4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담당 임직원에게 지급한 성과급만 9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부실이 확정될 경우 이연 성과급을 철저히 환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메리츠·한국투자·미래에셋·KB·키움·NH투자·신한투자·삼성·하나증권 등 9개사가 2019∼2022년 지급한 부동산 PF 관련 성과급은 8510억원이었다.

    부동산 PF 관련 성과급 규모가 가장 큰 회사는 메리츠 증권으로, 4년간 3550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메리츠증권의 부동산 PF 담당 인력은 4년간 평균 223명으로, 수십에서 100명대 수준인 다른 증권사 대비 훨씬 많아 성과급 지급 규모도 컸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411억원), 미래에셋증권(840억원), KB증권(824억원), 키움증권(595억원), NH투자증권(517억원), 신한투자증권(373억원), 삼성증권(239억원), 하나증권(158억원) 순이었다.

    최근 4년간 연평균 성과급을 부동산 IB 인력 수로 나눈 1인당 연평균 성과보수는 한국투자증권이 4억900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리츠증권(3억98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용우 의원은 “부동산 PF 사업이 부실화되는 상황에서도 높은 수준의 성과급이 지급된 것은 부적절하다”며 “증권사의 과도한 부동산 PF 사업 쏠림 현상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금리 시대 호황을 보였던 증권사 부동산 PF 사업은 최근 금리 인상기를 맞아 진행이 지연되거나 중단되면서 개발·분양 실패로 부실화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증권사는 보통 본 PF사업 전 브릿지론이나 대출을 담보로 한 유동화증권(ABCP 등) 발행 매입약정 등 보증 형태로 수수료를 받는다. 금리상승으로 사업이 부실화될 경우 보증채권 대납 인수이나 보유채권 손실로 회사 손실이 급증한다.

    이에 향후 부실이 확정되면 과거 발생한 이연 성과급 환수 사태가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 의원은 “부동산 PF 부실 여부에 따라 향후 책임 있는 임직원에 대해 철저한 성과급 환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