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건설 A사, 40억원 손실 감수하고 '에코델타시티' 주택사업 '손절''고금리' 여파로 청약률 감소‧미분양 우려 및 자금조달 난항 등 때문대구경북 종합건설사 폐업, 전년比 3배 '껑충'…전문건설사도 마찬가지"정부 공급대책, 수도권 집중돼 심각성 인지 못 해…획기적 대책 필요"
-
고금리와 부동산경기 침체로 인한 업계 불황으로 지방 부동산시장이 벼랑에 몰리고 있다. 손해를 감수하고 주택사업을 포기하거나 폐업신고를 하는 건설사가 늘어나면서다.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견건설 A사는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의 공동주택사업을 포기했다. 이 과정에서 계약금 40억원가량을 손해 본 것으로 전해졌다.A사는 2018년 12월 에코델타시티에 있는 33개 블록의 공공주택용지 중 4만여㎡에 달하는 '29블록'을 낙찰받았다. 이곳은 공동주택 570가구를 지을 수 있는 규모다.이 같은 소식은 에코델타시티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수자원공사가 해당 용지에 대한 재분양 공고를 내면서 알려졌다. 낙찰된 공장용지에서 사업을 포기한 사례는 있었지만, 공동주택용지에서 포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사업을 포기한 이유에 대해서는 용지 낙찰 이후 원자재가격과 인건비 등이 크게 올라 공사비가 인상됐고 고금리 여파로 PF대출 이자가 증가한 것들이 복합적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특히 에코델타시티는 소위 '청약불패' 지역으로 불렸지만, 지속해서 낮아지는 청약률에 대한 미분양 우려도 컸을 것으로 보인다.지난해 선보인 에코델타시티 내 공공분양 아파트 청약경쟁률을 보면 6월 '강서 자이 에코델타'는 1순위 청약에서 132가구 모집에 1만여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114대 1을 기록했다.하지만 7월 'e편한세상 에코델타 센터포인트'는 79.9대 1, 11월 '에코델타시티 푸르지오 센터파크'는 42.0대 1을 기록했다.올해 5월 '부산 에코델타시티 디에르트 더퍼스트'의 경우 1순위 청약 결과 907가구 모집에 1083명이 신청해 평균 1.14대 1에 그쳤다. 이 중 전용 84㎡ B·C타입, 110㎡ B·C타입 등에는 청약 신청자가 없어 에코델타시티 분양 사상 처음으로 '1순위 미달'이 발생하기도 했다.강정규 동의대 재무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번 사례는 분양시장 침체에 대한 우려, PF대출 이자 증가에 따른 분양가 상승 등 현재 주택시장의 총괄적인 어려움이 표출된 것"이라며 "이곳은 부산 신규공급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기 때문에 이번 소식에 대한 현장 충격은 상당히 큰 상태"라고 말했다.이어 "이번 경우는 그동안 택지개발사업지구 내에서 첫 삽도 뜨기 전에 사업을 포기한 첫 사례일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주택공급이 상당히 위축될 수 있는 여지가 이번에 나타난 것"이라고 덧붙였다.앞서 올 2월 대우건설도 울산 내 주상복합 신축사업에서 440억원의 손해를 감수하고 시공권을 포기한 바 있다. 가파른 금리 인상, 울산 분양전망지수 하락 등으로 최소 1000억원 손실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
대구와 경북에서는 이 같은 업계 불황으로 폐업신고를 하는 건설사가 증가하고 있다.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을 보면 올 들어 이날까지 대구·경북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건수(변경·정정·철회 포함)는 모두 39건으로, 전년동기 16건에 비해 243% 급증했다. 지난해 전체 신고건수는 20건이다.이 중 대구의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건수는 1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건보다 5.33배 늘었다. 경북은 23건으로, 13건보다 1.76배 증가했다.전문건설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올 들어 이날까지 대구·경북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건수는 22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7건보다 1.27배 늘었다. 대구는 44건에서 66건으로 50%, 경북은 133건에서 160건으로 20.3% 각각 증가했다.특히 대구는 전국에서 미분양 주택이 가장 많은 곳으로, 이에 따른 건설사 부담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국토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를 보면 올 들어 9월까지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10만501호다. 다음으로는 경북이 7680호로 미분양 수가 많았다.일각에서는 현 정부 부동산 정책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에 맞춰져 있어 지방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서정렬 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미분양의 경우 수도권보다는 지방에서 문제가 더 심각하다"며 "결국 정부의 공급대책이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작용하지 못했다는 결과"라고 진단했다.이어 "민간건설사가 주택공급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지만, 금리가 높고 자재가격이나 인건비가 올라 사업지에서 오히려 손해를 볼 가능성이 커졌다"며 "공급대책이 해당 리스크를 헷지할 수는 없기 때문에 민간으로서는 정부가 대책을 아무리 내놓는다고 한들 '리스크는 알아서 감당하라'는 것으로 들릴 것"이라고 분석했다.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미분양 물량이 수치로는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측면이 있다"며 "이 때문에 사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선제 대응도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이어 "업계에서도 자구노력이 있어야겠지만 노력만으로 안 되는 사업장도 있기 때문에 세제 혜택이라든지 획기적인 수준의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