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이익과 수수료 이익이 각각 5.4%, 4.5%↑영업이익 연간 성장률 17.8%…역대 최대 수준견조한 펀더멘털‧이익체력 증명
-
KB금융그룹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우려와 상생금융 등에 따른 추가충당금 적립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업계 최상위권의 자본 비율, 은행과 비은행 간 균형 잡힌 사업 포트폴리오, 보수적인 건전성 관리 등이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이자이익·비이자이익 고른 성장세KB금융은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11.5% 증가한 4조631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공시했다.이자이익과 수수료 이익이 각각 5.4%, 4.5% 증가하면서 고른 성장세를 보인 결과다. 총영업이익은 16조2291억원으로 전년 대비 17.8% 늘었다.지난해 일반관리비는 6조6474억원으로 그룹 CIR(비용효율성)은 역대 최저 수준인 약 41.0%를 기록했다. 민생금융 등 특이요인을 제외한 경상적 CIR은 37.4%로 뚜렷한 하향안정화 추세를 보였다.지난해 선제적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대손충당금전입비율은 0.67%로 상승했다. 4분기 전입액만 1조 3782억원에 달했다.KB금융의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은 약 716조원을 기록했다. 관리자산(AUM)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약 1217조원으로 대출채권과 투자금융자산 등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년 말 대비 27조원 늘었다. 그룹의 관리자산은 501조원으로 증권의 WM 금융상품 판매 증가 및 자산운용 수탁고 증가에 힘입어 전년 말 대비 9.4% 성장했다.그룹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57%, NPL 커버리지 비율은 174.5% 수준이다. 부동산 PF, 해외상업용 부동산 등 중점관리 섹터에 대해 자산건전성을 보다 보수적으로 분류한 영향으로 NPL 커버리지 비율이 전년 대비 하락했지만, 여전히 업계 최고 수준의 손실흡수력을 확보하고 있다.그룹 BIS자기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6.71%, 13.58%를 기록했다. BIS 비율은 전년 말 대비 55bp 상승했고, 보통주자본비율은 그룹 목표치인 13%를 58bp 웃돌았다.KB금융 관계자는 “그룹의 모든 부분이 고르고 강력한 수익창출을 이어간 결과 2023년 총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 수준인 17.8%의 연간 성장률을 시현하며 약 16조원을 기록했다”며 “전사적 차원의 비용효율성 개선 노력의 결실로 그룹 CIR(비용효율성)도 역대 최저 수준인 약 41.0%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
◇ “카드 빼고 다 좋았다”카드사를 제외한 전 계열사의 고른 활약도 돋보였다.우선 KB국민은행은 지난해 3조 2615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과 민생금융 지원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중심 기업여신 성장과 순이자마진(NIM) 확대로 이자이익이 전년 대비 8.9%(2655억원) 증가했다.지난해 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342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4.0% 늘었다. 이중 가계여신은 고금리 지속에 따른 수요감소 영향으로 연초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후 실수요를 중심으로 여신성장이 소폭 회복되면서 전년 말 대비 0.3% 증가했다. 기업여신은 7.7% 증가했다. 중소기업여신이 2.7% 성장했고, 대기업여신이 금리상승에 따른 회사채 발행시장 위축으로 큰 폭 증가하면서 30.1% 증가했다.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0.22%로 0.06p% 상승했다. NPL 비율 역시 0.31%로 0.11%p 상승했으나, NPL 커버리지 비율은 225.6% 수준을 유지하며 불확실성에 대응한 손실흡수력을 확보했다.KB증권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3896억원으로 전년 대비 2018억원(107.5%) 큰 폭으로 증가했다. WM금융상품 판매 증가로 인한 WM수익 증가, 대형 IB 딜을 통한 수익성 제고에 기인했다는 설명이다.이밖에 KB손해보험과 KB라이프의 당기순익이 각각 35.1%, 88.7% 증가했다.KB국민카드는 지난해 3511억원의 당기순익을 거둬 전년 대비 7.3% 감소했다.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조달비용 증가와 연체율 상승 등 건전성 악화로 인한 충당금 전입액이 증가한 영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