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환자 전원 활성화 조치에도 업무로딩 장벽회송수가 올렸으나 '배후진료' 불가능 한계 사장자 발생 우려에도… 주요 병원 전공의 10명 중 6명 이탈
-
의대증원 백지화를 주장하며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고 있다. 빅5병원을 포함한 전국 상급종합병원에서 큰 수술이 밀리고 있는 것은 물론 인력이 부족한 지방 응급실 상황이 위태롭다.21일 의료계에 따르면 일부 서울 대형병원 응급실 앞엔 '응급 병상이 포화돼 심정지·급성 심근경색 등 일부 환자를 제외하고 진료가 어렵다'는 안내문이 공지됐다.대형병원 응급실 병상이 꽉 차면 경증·비응급 환자는 전공의 사직 여파가 덜한 종합병원 등으로 전원하는 절차를 밟는다. 정부는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할 방안으로 회송수가를 인상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종합병원으로 전원을 수월하게 하자는 취지다.그러나 이 과정도 쉽지 않다. 연쇄적 인력 공백으로 업무로딩이 커지기 때문이다.실시간 응급실 현황이 보고되는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 환자를 받기 힘들다는 메시지가 계속 뜨고 있다.'전공의협의회 단체행동으로 응급실 축소 운영 중', '추적관찰(F/U) 외 환자 수용불가'라는 내용이 대표적이다. 이는 전공의가 빠져 응급실 구역 일부를 멈추고 가용병상을 줄인다는 뜻이며 기존에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환자가 아닌 경우에는 대처가 불가능하다는 의미다.교수 대비 전공의 비율이 높은 의료기관일수록 응급실은 쉽게 무너진다. 열악한 지방 의료의 단면이 응급실 상황으로 맞닥뜨리게 된다.한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전원을 보낼 곳도 받을 곳도 없어졌다"며 "배후진료가 가능한 기관이 줄어들고 있으며 그 여파는 사망자 발생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문제는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전공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이다.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나자 의료가 마비된다고 하는데 피교육자인 전공의가 없다는 이유로 병원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구조가 바람직한가”라며 "의대증원 백지화를 요구한다"고 했다.이날 박민수 복지부 차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지난 20일 22시 기준 주요 100개 수련병원 점검 결과 소속 전공의의 약 71.2% 수준인 8816명의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사직서 수리는 없지만 근무지 이탈자는 소속 전공의의 약 63.1%인 7813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들 중 6112명에 업무개시명령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