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소프트뱅크, 라인야후 지분 매각 협의 중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8조원 가량, 실매각 10조원 웃돌아지분 일부 매각 유력… 2대주주 지위 챙기고 AI 등 신산업 투자 여력한일 양국 외교전 비화 조짐, 업계 반발 속 현상 체제 가능성도
  • ▲ ⓒ각사
    ▲ ⓒ각사
    네이버가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 지분 매각 협상을 공식적으로 밝히면서 향후 시나리오에 이목이 쏠린다. 시가총액 25조원에 이르는 라인야후에 대해 네이버 보유주식 가치는 대략 8조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을 얼마나 팔지, 얼마를 받고 팔지가 관건으로 떠오른 것.

    13일 네이버에 따르면 소프트뱅크와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고 협의를 진행 중이다. 앞서 네이버는 라인야후 매각 협의를 공식화하면서 "회사의 미래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고자 회사 자원의 활용과 투자에 대한 전략적 고민과 검토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라인야후는 네이버가 개발한 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과 소프트뱅크가 운영하는 최대 포털 '야후'를 서비스하는 회사다. 앞서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및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지난 2021년 3월 일본 자회사 라인과 일본 Z홀딩스의 야후재팬과 경영통합을 완료했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의 지분 64.5%를 보유한 지주회사 A홀딩스도 출범, 지분을 각각 50%씩 나눠 가진 상태다. 

    소프트뱅크가 네이버로부터 A홀딩스의 지분을 1%라도 사들이면 라인야후에 대한 경영 주도권을 쥐게 되는 구조다. 

    라인야후 시가총액은 10일 종가 기준 2조 8600억엔(약 25조원)에 달한다.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A홀딩스) 지분율의 32%에 달하는 8조원 가량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고려하면 실제 매각가는 10조원이 넘을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네이버가 지분을 전량 매각할 시 글로벌 사업다각화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일본 이외에 대만·태국 사업과 라인망가, 네이버제트 등 다양한 사업이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 전세계 2억명을 확보한 라인 메신저를 주축으로 한 해외 시장 경쟁력이 도태될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여기에 데이터 주권 시대에 경쟁력을 좌우하는 플랫폼을 일본에 강탈당했다는 비난이 나올 가능성도 높다.

    네이버로서는 이런 점을 감안했을 때 라인야후의 일부 매각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뱅크는 네이버가 가진 지분 1%에서 100%까지 사들이는 것을 모두 논의 선상에 두고 협의를 진행 중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단순 계산으로 환산했을 때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의 10%만 팔아도 2조원에 가까운 실탄을 확보할 수 있다. 네이버가 2대 주주로 자리를 지키면서 지분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인공지능(AI) 등 신산업의 투자할 여력이 생긴다.

    실제 네이버는 올해 AI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수익 창출에 집중한다는 것을 경영목표로 내건 바 있다.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생성형 AI 관련 기술을 반영해 견고한 이용자층을 기반으로 락인 효과를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올해 더 세분화되고 전문화된 조직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선제적으로 발굴, AI와 데이터를 활용해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한일 양국 외교전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점치면서 매각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통령실에서는 정부의 지원을 시사하면서 네이버에 구체적인 입장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야당에서도 라인 사태를 양국간 중대 외교 사안으로 격상시키고, 진상 파악 공동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역설했다. 네이버 노동조합은 라인 계열 구성원과 이들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보호를 주장하며 지분 매각 반대 성명을 냈다.

    네이버는 이와 관련해 결론이 나기 전까지는 상세한 사항을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는 것을 최우선에 두고 중요한 결정들을 해나간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을 매각할 경우 AI 등 신산업 투자에 어느정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면서도 "다만, 제값을 받을 수 있는 여부와 양국의 정치적 이슈 등을 고려했을 때 선뜻 결론을 내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