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말 업비트 예치금 29.7%, 올해 1분기 20% 육박케이뱅크 업비트 제휴 종료 대비 금감원에 비상계획 제출
  • ▲ 케이뱅크 사옥. ⓒ케이뱅크
    ▲ 케이뱅크 사옥. ⓒ케이뱅크
    케이뱅크가 앞서 두 번의 상장 실패 후 IPO(기업공개) 재도전에 나선 가운데 그간 꾸준히 지적을 받아온 ‘업비트 의존도’에 대한 묘수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주목된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케이뱅크의 전체 수신액 중 업비트 예치금의 비율은 약 20%에 달한다.

    지난해 말에는 업비트 고객 예치금 비중이 전체 수신액의 3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 가상자산 정책을 강조한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지난해 4분기 가상자산 시장에 호황이 이어진 영향이다. 

    케이뱅크의 업비트 의존도가 최근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업비트와의 제휴 종료 등으로 예치금이 일시적으로 빠져나가게 될 경우 ‘뱅크런’(대규모 자금 인출 사태)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케이뱅크는 최근 금융감독원의 비상계획을 마련하라는 요구에 따라 업비트와의 제휴 종료를 대비한 대응책을 수립해 제출했다. 

    케이뱅크는 지난 2023년 말부터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산정 시 업비트 수신의 100%가 유출되는 것으로 가정해 LCR을 산출하는 등 뱅크런 위험에 대응해 왔다. 

    지난해 4분기 기준 규제 기준인 100%를 상회하는 170%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른 인터넷은행인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가 600~700%대를 유지하고 있어 이와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 ▲ 케이뱅크 가상자산사업자(VASP) 예금 잔액 및 비중. ⓒ케이뱅크
    ▲ 케이뱅크 가상자산사업자(VASP) 예금 잔액 및 비중. ⓒ케이뱅크
    지난 2020년 5월부터 시작된 업비트와 계약은 올해 10월 종료될 예정이다. 여전히 높은 업비트 의존도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지만 IPO를 앞두고 몸집을 불려야 하는 케이뱅크에게 업비트와 계약을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 케이뱅크와 업비트의 계약 종료를 앞두고 은행들이 업비트와의 신규 계약을 위한 물밑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케이뱅크가 컨틴전시 플랜(비상대응 계획)을 수립하는 등 대비책을 마련한 상황이며 현재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보여진다”며 “예금이탈 시에도 한 달 가량은 버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케이뱅크의 가상자산 예수금 비중이 10~20% 사이에서 왔다갔다 하지만 과거와 비교했을 때 크게 내려온 것”이라고 덧붙였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가상자산거래소 예치금을 포함한 유동성 관리에 만반을 다하고 있다”며 “또 예치금 운용 현황 및 유사시 대응방안 등을 마련해 금융당국에 제출하고 있다”고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업비트와의 계약 연장을 하지 못할 경우 업비트 없이 지속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해야할 것”이라며 “업비트와 제휴 유지를 하는 것이 기업가치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연장하지 못할 경우 IPO에도 악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