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최고' 수준 … 차세대 항공·3D 프린팅 '최저'산업기술기획평가원 보고서…한국·미국·EU·일본·중국 조사
  • ▲ 기술 분야별 기술 수준 및 기술격차 기간.ⓒKEIT
    ▲ 기술 분야별 기술 수준 및 기술격차 기간.ⓒKEIT
    우리나라의 산업기술이 미국의 88% 수준으로, 격차를 따라잡는 데 0.9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기술패권을 다투는 중국은 미국의 83% 수준이며 우리나라를 0.3년 격차로 바짝 뒤쫓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은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산업기술 수준 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지난해 8월7일부터 올해 2월6일까지 국내 대기업·공학회 등의 전문가 27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조사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5개국(미국·유럽연합(EU)·일본·한국·중국)의 기술 격차 등을 물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고 기술국인 미국(100%)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산업기술은 평균 88.0%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기술격차를 따라잡는 데는 0.9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기술 수준은 지난 2021년(86.9%)과 비교했을 때 1.1%포인트(p)쯤 상승했지만, 기술격차는 오히려 0.8년에서 0.9년으로 벌어졌다.

    EU는 기술 수준이 미국의 93.7%로 기술격차는 0.39년, 일본은 92.9%(0.43년), 중국은 83.0%(1.2년)로 각각 조사됐다.

    산업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미래형 디스플레이에서 최고 기술 수준을 보였다. 이차전지(98.0%)와 전기수소자동차(97.3%)도 최정상급 기술력을 갖췄다.

    반면 차세대항공(74.6%)과 3D 프린팅 기술(78.1%)은 기술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차세대항공의 경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가 2.9년이나 벌어졌다.

    74개 세부기술을 비교했을 때 한국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5개 분야와 이차전지 2개 분야 등 총 7개 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등을 제외한 대다수 산업기술에서 최고기술국으로 분류됐다. EU는 첨단 제조공정·장비, 조선해양플랜트, 일본은 세라믹, 탄소 소재, 뿌리기술에서 각각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가 기술 격차를 좁히려면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47.6%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