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벤처기업 현장 간담회' 개최투자 소외된 창업초기‧지방기업 지원 강화
  • ▲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16일 오전 서울 마포구 마포 프론트원에서 개최한 벤처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금융위원회 제공.
    ▲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16일 오전 서울 마포구 마포 프론트원에서 개최한 벤처기업 현장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금융위원회 제공.
    금융위원회가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위해 올해 15조4000억원 규모의 맞춤형 정책금융을 공급한다. 지난해보다 약 30% 늘어난 수치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16일 오전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벤처기업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초기 기업의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 사업화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글로벌 벤처투자와 달리 국내는 어느 정도 성과가 입증된 후기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아 초기 기업에 대한 사각지대 보완이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창업초기 단계부터 자금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올해 중 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을 통해 벤처시장에 지난해 대비 약 30% 증액된 15조4000억원의 정책금융을 맞춤형으로 공급하겠다”면서 “상대적으로 투자유치 기회가 적은 지방소재 벤처기업을 지원하고 지역 창업생태계 활상화를 위해 벤처기업 육성 플랫폼을 부산과 광주에 연내 추가로 개소하겠다” 말했다.

    금융위는 IPO(기업공개) 중심의 회수시장 개선을 위해 세컨더리펀드(기존 모험자본 펀드 회수를 지원) 및 인수합병(M&A) 등 중간 회수 시장 활성화도 추진한다. 김 위원장은 “올해 5월부터 산은과 기은이 조성한 1조2000억원 규모의 세컨더리펀드가 본격적인 투자집행에 나서고 있다”며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BDC)도 조속히 도입돼 세컨더리 펀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법 개정 노력도 지속할 것”이라고 했다.

    해외투자유치를 통해 사업확장을 위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거나 해외시장으로 진출하려는 벤처기업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의 해외네트워크를 통한 지원도 확대한다. 산은 넥스트 라운드 등 대규모 IR 행사의 해외투자자 초청과 해외 현지 개최를 늘려가고, IBK창공(미국 실리콘밸리, 독일 잘란트) 등 해외거점을 활용한 비금융 지원(사무공간, IR, 해외기업 연결, 컨설팅 등)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