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람객 6만명 돌파… 진귀한 명품 총 망라이재용 회장, 주요 외빈들과 5번이나 관람삼성, 국내 미술문화 부흥 기여 평가
  • ▲ 호암미술관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기획전에 전시 중인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삼성
    ▲ 호암미술관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기획전에 전시 중인 백제 '금동 관음보살 입상'ⓒ삼성
    동아시아 불교미술을 조망하는 호암미술관의 대규모 기획전이 호평을 받고 있는 가운데 3대째 이어오고 있는 삼성가(家)의 문화예술 사랑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은 호암미술관의 대규모 기획전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이 일반 관객은 물론 전세계 전문가들의 관심과 호평 속 관람객 6만명을 돌파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기획전은 2023년 대대적인 리노베이션 이후 호암미술관의 첫 고미술기획전이자 한국과 일본, 중국 3개국의 불교미술을 '여성'이라는 키워드로 본격 조명한 세계 최초의 전시라는 점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특히 해외 개인 소장가로부터 대여해 온 백제의 미소 '금동 관음보살 입상'은 국내에서 일반인에 최초로 공개되는 작품이다. 고려시대 국보급 작품 '나전 국당초문 경함'은 전세계에 단 6점만이 남아있는 진귀한 명품이다.

    이오 함께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한 ▲불설대보부모은중경 ▲궁중숭불도 ▲자수 아미타여래도 등도 함께 전시돼 관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삼성문화재단이 소장하고 있는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1-7, ▲아미타여래삼존도 ▲아미타여래도 ▲석가여래설법도 등 4점도 이번 전시를 통해 일반에 최초로 공개됐다.

    호암미술관은 이번 기획전의 기획과 전시에 5년의 시간을 들였다는 후문이다. 해외에서 중요 작품 한 두 점을 대여해 전시하는 경우는 있지만 한국과 일본, 미국, 유럽에 소재한 27개 컬렉션에서 불교미술 걸작품 92점(한국 48, 중국 19, 일본 25)을 한자리에 모은 전시는 극히 이례적임. 92건 중 한국에 처음 들어온 작품은 47건이다.

    기획전을 관람한 국내외 미술전문가들이 "세계 유수의 불교미술 명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어쩌면 우리 생에 한 번 밖에 없을 특별한 기획전"이라고 평가하는 이유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비즈니스 미팅 등을 위해 만난 주요 외빈들과 이번 전시를 5번이나 관람하며 한국 전통 문화를 소개하고 국내 문화·예술 발전에 대한 삼성의 노력과 기여를 설명했다.

    이 회장은 함께 방문한 일행들에게 '감지금니 묘법연화경'을 확대해 세밀하게 감상할 수 있는 '디지털 돋보기'를 직접 시연하기도 했다.

    이병철 창업회장, 이건희 선대회장, 그리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으로 이어지는 3대에 걸친 미술 사랑과 노블리스 오블리주는 국민들에게 명작의 힘과 작품의 매력을 느끼게 해주며 국내 미술문화 부흥과 국민들의 '문화 향유권'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호암미술관은 이병철 삼성 창업회장이 30여 년에 걸쳐 수집한 미술품을 기반으로 1982년 4월 22일 개관했다. 호암미술관 설립은 해외에 유출되고 산지사방으로 흩어져 소멸될 위기에 놓인 귀중한 민족문화의 유산들을 수집∙보호하기 위해 미술관 뿐만 아니라 문화전반에 걸친 교육과 향유의 장을 구상하고자 하는 이병철 창업회장의 의지로부터 시작됐다.

    이 창업회장은 호암미술관 개관식에서 "그동안 따뜻한 애정을 갖고 문화재를 모으는 데 정성을 기울인 것은 그것이 민족문화의 유산을 지키고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는 데 일조가 되리라는 신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창업회장은 개인적으로 모아 왔던 문화재 1167점(국보·보물 10여점 포함)을 1978년 삼성문화재단에 기증했다.

    특히 이 창업회장은 자서전 '호암자전'에 "개인의 소장품이라고는 하나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이다"며 "이것을 영구히 보존해 국민 누구나 쉽게 볼 수 있게 전시하는 방법으로는 미술관을 세워 문화재단의 사업으로 공영화하는 것이 최상책"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 선대회장은 기업가이면서 동시에 예술애호가이자 사회사업가이기도 했다. 이 선대회장은 2004년 개관한 리움미술관을 한국 미술계의 메카로 키워냈다.

    2004년 리움미술관 개관식에서 이 선대회장은 "비록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지라도 이는 인류 문화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서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런 철학을 토대로 '이건희 컬렉션'에는 국보급 문화재를 포함해 국내 유명 작가의 작품들이 대거 포함됐다. 또한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국내외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것에 대해 안타까워하며 이를 모아 국립박물관의 위상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여러차례 강조했다.

    이 회장 또한 선친이 수집한 작품을 국가에 기증하기로 가족들과 함께 결정하면서 창업회장과 선대회장의 철학을 계승하고 있다.

    이 회장을 비롯한 유족들은 이 선대회장이 문화유산 보존을 위해 평생 모은 개인 소장품 중 2만3000여점을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기증하기도 했다. 

    유족들은 '국립박물관의 위상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 선대회장의 말씀을 이행하는 것이 고인의 뜻을 기리는 진정한 의미의 상속이라는 데 뜻을 함께 했다.

    이후 '이건희 컬렉션'은 전국 미술관에 전시되며 미술에 대한 국민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국민들의 '문화 향유권'과 국내 미술관의 격과 위상을 높이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정부는 2024년까지 지역별 순회를 이어가고, 2024년 이후에는 이건희 컬렉션으로 더 풍부해진 한국의 국가 문화 유산을 알리기 위해 미국(워싱턴·시카고)과 영국(런던) 등 주요 도시에 해외 전시를 진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