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그룹, 오는 14일 임시주총 개최신규 지주사 HS효성 설립안건 상정동생 조현상 부회장, HS효성 이끌어조 회장, 효성화학 떠맡아 동생 배려
  • ▲ 효성그룹은 오는 14일 임시 주총을 개최해 두 개 지주회사 분할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뉴데일리DB
    ▲ 효성그룹은 오는 14일 임시 주총을 개최해 두 개 지주회사 분할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뉴데일리DB
    효성그룹이 ‘㈜효성’과 ‘HS효성’이라는 두 개 지주회사 체제로의 개편을 앞두고 있다. 조현상 부회장이 HS효성을 맡으며 홀로서기에 나서는 가운데 조현준 회장이 효성화학을 떠안기로 하면서 ‘형제경영’이 돈독해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효성그룹은 오는 14일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한다. 이날 임시 주총에서는 신규 지주회사인 HS효성을 설립하는 분할 계획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다. 

    앞서 효성은 올해 2월 23일 이사회에서 책임경영 강화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HS효성을 설립하는 분할계획안을 결의했다. 

    임시 주총에서 이번 안건이 의결되면 효성그룹은 내달 1일자로 존속회사인 ㈜효성과 신설법인인 HS효성의 2개 지주회사 제체로 재편된다. 

    조 회장은 존속 지주회사인 ㈜효성을 맡아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효성화학 ▲효성티엔에스 등 자회사의 핵심 사업 혁신과 성장잠재력 극대화,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신성장 동력 육성을 통해 미래 지속성장을 위한 기반을 확립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다. 

    조 부회장은 HS효성을 이끌게 되며, ▲효성첨단소재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HIS) ▲효성토요타 등 6개사를 맡게 된다. 특히 효성첨단소재를 주축으로 글로벌 소재 전문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성장 기회를 확보해 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번 분할 과정에서 조 회장이 효성화학을 가져간 점이 눈길을 끈다. 효성화학은 높은 부채비율, 지속적인 실적부진 등으로 그룹의 ‘천덕꾸러기’ 였기 때문이다. 

    효성화학의 부채비율은 2019년 354%였지만 2022년 2632%, 2023년 4935%로 급증하며, 5000%에 육박한 상태다. 

    실적면에서도 2021년 1366억원의 영업이익에서 2022년 3667억원 영업손실로 적자전환됐고 2023년에도 1888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 ▲ 故 조석래 명예회장의 유언도 조 회장 결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뉴데일리DB
    ▲ 故 조석래 명예회장의 유언도 조 회장 결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뉴데일리DB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4월 효성화학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기존 ‘A-(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기업어음 신용등급을 ‘A2-’에서 ‘A3+’로 하향 조정했다. 

    당초 이번 개편에서 조 부회장이 효성화학을 가져가는 방안도 검토됐지만 이 경우 효성첨단소재에서 자금 지원을 하는 등 경영상의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번 지주사 분할을 통해 효성첨단소재와 효성화학이 완전히 분리됐다”면서 “이에 따라 계열사 지원 등 효성첨단소재에 대한 시장의 재무구조와 관련된 우려는 완벽히 종식됐다”고 평가했다. 

    조 회장이 효성화학을 ㈜효성에 포함시키면서 분할 비율은 ㈜효성 0.82 대 HS효성 0.18로 차이가 벌어졌지만, 이는 HS효성 안착을 위한 조 회장의 결단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배경에는 고(故) 조석래 명예회장의 유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3월 별세한 조 명예회장은 지난해 대형로펌 변호사의 입회하에 유언장을 작성했다. 

    조 명예회장은 유언장에서 “부모, 형제 인륜은 천륜”이라면서 “어떤 일이 있더라고 형제 간 우애를 반드시 지켜달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앞서 조 명예회장의 차남인 조현문 전 효성 부사장은 10년전인 2014년, 형인 조 회장과 주요 임원진의 횡령·배임 의혹 등을 주장하며 고소·고발을 하면서 ‘형제의 난’이 발생했다. 

    한편, 효성그룹 측은 “이번 지주회사 분할은 책임경영 강화를 비롯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신속한 의사결정 체계를 구축하려는 취지”라며 “적재적소에 인적, 물적 자원을 배분해 경영 효율화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