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비경제활동인구 감소에도 고학력자만 늘어고학력 청년 실업자, 전년比 7만여명 증가…대졸 비중 25%전문가의 경우 양질의 일자리 부족…노동시장 활력 저하 우려
  • ▲ '2023 KB굿잡, 부산 잡(JOB) 페스티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31018 ⓒ뉴시스
    ▲ '2023 KB굿잡, 부산 잡(JOB) 페스티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31018 ⓒ뉴시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대졸자가 올 상반기 400만명을 넘어서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정부의 경제활동 참여 촉진 대책에도 청년‧고학력자 중심으로 구직활동을 중단한 사람들이 가파르게 늘고 있어 노동시장 활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2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의 올 상반기 월평균 대졸 이상(전문대 포함) 학력을 가진 비경제활동인구(비경활)는 405만8000명으로, 전년동기보다 7만2000명 늘었다. 1999년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 상반기 기준으로 가장 많다.

    비경활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들이다. 다시 말해 일을 할 능력이 없거나 일할 수 있음에도 일을 할 뜻이 없어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구직시장을 떠난 사유로는 육아‧가사‧연로‧심신장애 등이 다양하다. 조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해 취업을 포기한 구직 단념자나 고용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쉬었음'도 비경활에 포함된다.

    최근 전체 비경활의 감소세 가운데 대졸 이상 비경활은 증가세가 뚜렷하다.

    대졸 이상 비경활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1년 상반기 404만8000명 처음 400만명을 넘어선 뒤 이듬해 큰 폭(-13만6000명)으로 줄었지만, 다시 2년째 늘고 있다. 전체 비경활은 상반기 기준으로 2022년 이후 3년째 줄고 있다.

    고학력자를 중심으로 비경활이 가파르게 늘면서 전체 비경활에서 대졸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올 상반기 25.1%를 기록, 처음 25%를 넘어섰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들 4명 중 1명 이상이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대졸 비경활 증가세는 20대가 주도하고 있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상반기 월평균 대졸 이상 청년층(15~29세) 비경활은 59만1000명으로, 전년동기대비 7000명 늘었다.

    인구가 줄고 있음에도 대졸 비경활이 늘어난 연령대는 청년층이 유일하다.

    실제 고학력 비경활은 20대 후반을 중심으로 늘고 있고, 특히 최근 1년 이내 일을 하거나 구직활동을 한 경험이 있는 '단기 비경활' 비중이 크다는 것이 통계청 분석이다.

    이들은 구직시장을 떠나기 직전 도소매‧사업시설관리 등 업종에서 주로 일했고, 직업군‧종사상 지위 기준으로는 사무직‧단순노무직‧임시직 비중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전문가나 기술이 있는 고학력자는 일자리를 잃어도 비경활로 빠지지 않고 구직시장에 남아 '실업자'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적으로 질이 나쁜 일자리에 있던 고학력자일수록 구직을 포기하거나 재교육 등을 위해 구직활동을 접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청년‧고학력자 중심의 비경활 증가세는 결국 양질의 일자리 부족에서 상당 부분 비롯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학력자 중심의 비경활 증가세는 결국 저학력자보다 고학력자의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하고 그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에 이어 올해 5월에도 매칭‧직업훈련 등 취업 지원중심의 청년 경제활동 참여 촉진대책을 내놨다.

    정부 측은 "당분간 상황을 더 지켜봐야 정확한 추이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면서도 "경제활동 참여도를 높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은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