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자의 감수분열 중 손상된 염색체를 복구하는 새 메커니즘 발견BRCA1, PLK1, CIP2A 단백질 상호작용 밝혀생화학·분자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Nucleic Acids Research'에 게재
-
성균관대학교는 융합생명공학과 오정수 교수 연구팀이 난모세포의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는 새로운 기전을 밝혀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상동재조합 복구기전(HR)을 통해 조절되는 BRCA1-PLK1-CIP2A 축을 규명하며, 난모세포 내 손상된 염색체가 끊어지지 않고 효율적으로 복구되는 메커니즘을 제시했다.이번 연구는 난자의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는 새로운 경로를 제시함으로써, 난자의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난임 치료와 생식세포 연구에 이바지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이번 연구는 난자의 유전체 안정성을 보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연구팀은 DNA 손상 복구 과정에서 BRCA1, PLK1, CIP2A라는 단백질의 상호작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단백질은 난자의 감수분열 동안 염색체 단편화와 같은 손상을 방지하고, 유전체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특히 BRCA1이 PLK1의 활성을 조절해 CIP2A를 손상된 염색체에 적절히 결합하는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이는 기존에 알지 못했던 복구 기전을 제시하며 난임 치료와 생식의학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오 교수는 "이번 연구는 건강한 난자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잠재적 치료 타깃으로 활용될 수 있다"며 "난모세포의 유전체 안정성 유지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넓혀 생식의학과 유전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생화학·분자생물학 분야 국제학술지 '핵산 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지난 9일 온라인 게재됐다. 오 교수가 교신저자, 크리스탈 리 석사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대학중점연구소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