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옵션 행사로 지분 14.7%→35% 미래로봇추진단 설립…지능형 첨단 로봇 개발로봇에 AI기술 융합…시너지협의체 구성로봇 원천기술 확보해 핵심 성장 동력화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삼성전자가 콜옵션 행사로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삼성전자는 미래로봇추진단을 설립하고 휴머노이드 등 지능형 첨단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콜옵션을 행사, 35%의 지분을 확보했다고 31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국내 최초로 2족 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로봇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에 868억원을 투자해 14.7%의 지분을 확보했다. 하지만 이번에 콜옵션을 행사하면서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했고,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됐다.

    삼성전자는 미래로봇 개발을 위한 기반을 탄탄히 구축하기 위해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을 신설했다. 

    삼성전자는 자사 AI, 소프트웨어 기술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로봇 기술을 접목해 지능형 첨단 휴머노이드 개발을 가속화 할 예정이다. 이 중 미래로봇추진단은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으로 향후 패러다임을 바꿀 미래로봇의 원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핵심 성장 동력화 한다는 계획이다.
  • ▲ 레인보우로보틱스 이동형 양팔로봇 'RB-Y1' ⓒ레인보우로보틱스
    ▲ 레인보우로보틱스 이동형 양팔로봇 'RB-Y1' ⓒ레인보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이자 카이스트 명예교수인 오준호 교수는 레인보우로보틱스 퇴임 후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는다. 오 교수는 오랜 기간 산학에서 축적한 로봇 기술과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미래로봇 개발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로서 글로벌 로봇 사업과 개발 리더십 강화를 위한 두 회사간 시너지협의체도 운영한다. 시너지협의체는 미래로봇 기술 개발은 물론 로봇 사업 전략 수립과 수요 발굴 등을 통해 두 회사의 성장을 돕는 가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예컨데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들 로봇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별 데이터, 환경적 변수 등을 AI 알고리즘으로 학습하고 분석해 작업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를 활용해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되면서 미래로봇 개발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며 "두 회사의 윈윈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