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외교부·국방부 이어 딥시크 이용 제한
-
- ▲ 한 사용자 휴대전화 화면에 딥시크(DeepSeek)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고 있는 모습. ⓒAP/뉴시스
정부부처의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가 전날 접속을 차단한데 이어 환경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일부, 공정거래위원회, 교육부 등도 딥시크 이용 제한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도 접속 차단을 검토 중이다.공정위는 6일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의 수집·처리 관련 약관사항 등이 명확히 확인될 때까지 딥시크 접속을 일시 차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딥시크는 AI 학습과정에서 이용자 기기 정보와 IP,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전방위적으로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딥시크 차단에 동참하는 기류다.환경부도 외부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PC)를 사용할 때 딥시크 접속을 못하도록 '유해사이트'로 등록했다. 교육부도 산하 기관·공공기관과 대학 등에 AI 사용을 자제해달라는 내용의 '생성형 AI 활용 관련 보안사항 준수' 공문을 보냈다.이날 여가부와 복지부, 경찰청, 과기정통부, 통일부, 교육부 등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거나 차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기재부도 딥시크 접속 차단을 검토 중에 있다. 외부 접속이가능한 PC에 딥시크 접속 차단을 논의 중이다.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3일 정부부처와 광역 지방자치단체 17곳에 챗GPT와 딥시크 등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민감 정보는 입력하지 말라는 취지의 공문을 발송한 바 있다.해당 공문에는 딥시크만을 특정해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기지는 않았지만, 전날 산업통상자원부와 외교부, 국방부가 자체 판단에 따라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를 내렸다.해외에서도 딥시크 차단이 이어지고 있다. 호주와 일본, 대만, 미국 텍사스주 등은 개인정보 유출과 정보 보안 우려로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제한했다. 이탈리아는 구글과 애플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다운로드를 차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