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외식업계 현안 해결 간담회 개최
-
- ▲ 농림축산식품부 전경. ⓒ뉴시스
정부가 외식업계 주요 기업·단체 대표들과 만나 '외식물가 안정'에 대한 협조를 당부했다. 기업에 대한 물가 동결 압박이 잦은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뛰는 물가를 어떻게든 잡아보려는 정부의 의지로 보인다.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박범수 차관 주재로 '외식업계 현안 해결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2025년도 외식산업 정책방향 설명 △미국 신정부 출범 등 대내·외 환경 변화 상황 공유 △외식업계 애로사항 청취 및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업계 간 협력을 위한 자리다.간담회에는 BBQ, BHC, 교촌치킨, SPC 삼립,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메가커피, 신세계푸드, 맘스터치, 버거킹, 본죽, 피자알볼로, 얌샘, 청년다방, 놀부부대찌개, 동대문엽기떡볶이, 신전떡볶이 등 17개 주요 외식 기업 및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외식업중앙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 3개 외식관련 단체 대표·임원이 참석했다.박범수 차관은 최근 환율·유가·공급망 불안 등 대외 여건 변화와 코코아‧커피 등 원재료 가격 상승, 통상임금 개편에 따른 인건비 상승, 배달앱 수수료 부담 증가 등에 따른 일부 외식 가격 인상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전달했다.또 업계에 비용절감 등 자구노력을 통해 가격 인상 요인을 최소화하고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 기조에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수수료가 저렴한 공공배달앱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이에 대해 업계는 외식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주요 원자재에 할당관세 적용, 배달앱 수수료 부담 완화 등을 건의했다. 박범수 차관은 "애로사항을 검토해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농식품부 관계자는 "지속적이고 긴밀한 소통을 통해 업계의 추가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해소 방안을 강구해 물가 안정과 외식업계 현안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