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300만t 규모 LNG터미널·열벙합발전소 등 건설경쟁력·정책지원 갖춰…청정에너지 밸류체인 구축
-
- ▲ 묘도 에코 에너지허브 조감도. ⓒBS한양
BS한양이 LNG 터미널에 이어 수소,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등 청정에너지 사업 밸류체인 구축에 나선다.26일 BS한양은 지난해 6월 전라남도 기회발전특구사업으로 지정된 여수 '묘도 에코 에너지허브'에서 LNG 터미널을 기반으로 한 청정수소 생산 및 공급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LNG 터미널은 연간 300만t 규모 LNG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청정수소 생산원료 공급기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BS한양은 여기에 더해 수소 생산·유통·소비, CCUS 등으로 이어지는 수소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BS한양이 전라남도, 여수시와 공동추진중인 묘도 수소 클러스터는 △수소 생산원료인 LNG 저장 및 공급이 가능한 LNG 터미널 △청정수소 수요처인 묘도 열병합발전소 △청정수소 생산플랜트 △수소 생산 과정에서 포집된 탄소(CO2)를 매립지로 이송하는 액화 CO2터미널 등을 포함한다.BS한양은 연간 최대 10만t 규모 청정수소 생산에 필요한 수소 생산시설과 CO2 터미널 등 필수 인프라시설을 건설하기 위해 글로벌 수소 및 CCUS기업들과 기술 및 투자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도 구하고 있다.묘도 수소 클러스터에선 수소 생산과정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액화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LNG 터미널 냉열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전력사용량을 절감하는 효과를 낸다고 BS한양 측은 설명했다.이같은 방식은 국내외 추진중인 액화CO2터미널의 기본적인 모델이다.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을 갖춰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높다.실제로 묘도는 지난해 6월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전라남도 수소특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는 등 정책적 지원까지 확보해 기업투자가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묘도 열병합발전사업은 지난해 12월 산업부 발전용량입찰에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수소 수요처를 확보하면서 BS한양의 수소 클러스터 조성, 청정에너지사업도 가속화되고 있다.최종 사업권 확보를 위한 심사가 진행중인 열병합발전소는 495㎿ 규모 고효율 발전설비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연료사용량을 줄이는 고효율 청정발전소로서 수소 클러스터에 전력 및 열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게 된다.BS한양 측은 "묘도 에코에너지 허브사업은 지정학적으로 우수한 입지에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한 세제혜택 등 강점을 갖췄다"며 " 글로벌 에너지기업들과 긴밀히 협업해 사업기회를 모색하는 한편 LNG를 기반으로 한 수소산업 및 CCUS 등으로 에너지사업을 다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