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합
홈플러스가 법원으로부터 기업회생절차 개시 결정을 받으면서 기업어음(CP)과 전자단기사채(전단채)를 매입한 투자자들의 손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는 빠른 시일 내 정상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홈플러스는 6일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현금 창출력과 소유 부동산(감정가 4조7000억원)을 고려할 때 현금 흐름은 곧 개선될 것"이라며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CP와 전단채를 발행해 왔으며 현재 발행 잔액은 이달 4일 기준 1880억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 2월 28일 발표된 신용평가 결과 예상과 달리 신용등급이 A3-로 한 단계 하락하면서 CP 발행이 어려워졌고 이로 인해 단기 자금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4일 회생절차를 신청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다른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CP는 운영자금 확보를 위해 매월 25일을 포함해 정기적으로 발행해 왔고 이를 증권사들이 인수해 갔다"고 덧붙였다.
홈플러스는 이번 회생절차 신청이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단기자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긴급한 조치로 이를 사전에 예상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유동화증권(ABCP) 문제도 언급했다. 홈플러스는 "증권사가 당사의 카드매입 대금에 대한 신용카드사의 매출채권을 각 카드사로부터 인수해 이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ABCP는 발행 주체가 증권사로 직접 발행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또한 "홈플러스가 발행한 CP와 전단채뿐만 아니라 홈플러스의 신용카드 매입채무를 기초자산으로 증권사들이 발행한 ABCP 모두 회생절차에 따라 승인되는 회생계획에 의해 변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상품권 사용과 관련한 문제 없이 정상 사용 가능하다고도 강조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일부 제휴사에서 상품권 수취를 거부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나 이는 상품권이 100% 변제가 이뤄지는 일반 상거래 채권"이라면서 "제휴사와 충분한 소통을 통해 불필요한 우려를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신용평가사들은 홈플러스의 이익 창출력 약화, 현금 창출력 대비 과중한 재무 부담, 중장기 사업 경쟁력의 불확실성 확대 등을 이유로 지난달 CP와 전단채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하향 조정했다. 이후 홈플러스는 이달 4일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고 법원은 개시 결정을 내렸다.
이와 관련 신용평가사들은 법원의 결정을 반영해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D로 추가 하향 조정했다.
우려가 커지자 금융당국도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전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홈플러스의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는 금융회사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홈플러스의 대금 정산 문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