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업회생 파장 … 식품업계, 납품 중단 움직임 확산생활용품 대기업들 "납품 중단 여부 검토 중"홈플러스 "납품 이어가도록 요청하고 있다"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면서 주요 식품업체들이 신규 납품을 중단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홈플러스에서 대금을 받지 못하거나 정산이 지연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서다. 

    아직은 식품사들 중심으로 납품 중단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지만, 생활용품 등 다른 협력업체로 확산될 가능성도 크다.

    6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오뚜기, 동서식품 등 주요 식품 대기업들이 최근 홈플러스에 대한 제품 납품을 중단한 것으로 확인됐다. 

    홈플러스는 정상 영업을 위해 납품업체들을 상대로 불안감을 잠재우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

    홈플러스는 "상거래 채권은 보호된다"며 "현재까지 납품 중단 없이 정상 공급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홈플러스에서 상당한 매출을 기록하는 식품 대기업들은 잇달아 공급 중단을 결정했다.

    CJ제일제당, 동서식품, 오뚜기는 신규 물량 공급을 멈췄으며, 농심도 일부 홈플러스 매장에 대한 신규 공급을 중단한 상태다.

    이는 지난해 티몬과 위메프(티메프)에서 발생한 대규모 미정산 사태처럼,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에 따라 최악의 경우 납품 대금을 받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홈플러스에 생활용품을 공급하는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애경산업 등 대기업들은 현재까지 납품을 지속하고 있지만, 향후 중단 여부를 두고 논의 중이다.

    향후 납품업체들이 공급 물량을 점진적으로 줄이거나 사태를 주시하며 추가적인 대응에 나설 가능성도 높다. 

    전날 신라면세점, CJ푸드빌, 에버랜드 등 홈플러스 상품권 제휴사들이 변제 지연 가능성을 우려해 상품권 사용을 중단했다. 상품권이 상거래 채권에 해당해 법적으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시장에서는 MBK에 대한 신뢰 하락과 회수 불안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홈플러스는 상거래 채권 보호와 매장 운영 정상화를 강조하며 협력사들을 안심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홈플러스 측은 "협력사들이 불안감 속에서 납품 지속 여부를 검토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당사는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납품을 이어가도록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