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국민 1000명 대상 민생경제 설문물가상승·소득 감소·일자리 부족 등 어려움 식료품 및 외식비 가장 크게 올랐다 느껴
-
- ▲ ⓒ한국경제인협회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작년에 비해 악화됐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물가 상승을 경제적으로 가장 크게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로 꼽았다.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은 20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경제 현황 및 전망'을 실시한 결과, 가계경제 상황이 1년 전에 비해 '악화됐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71.5%에 달했다고 밝혔다. 반면 '개선됐다'라는 답은 28.5%에 불과했다.1년 전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현재의 가계경제 상황이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됐는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30%~20% 악화의 응답 비중이 26.4%로 가장 높았다. 이어 ▲10%~0% 악화(응답비중 23.2%) ▲20%~10% 악화(21.5%) ▲0%~10% 개선(18.5%) ▲10%~20% 개선(5.8%) ▲20%~30% 개선(2.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한경협 측은 "이를 평균했을 때 국민들의 가계경제 상황은 지난해에 비해 7.7% 정도 악화된 것으로 인식된다"라고 설명했다.국민들이 경제적으로 가장 크게 어려움을 느끼는 분야는 '물가상승'으로 응답률이 71.9%에 육박했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 및 불안정(9.5%) ▲부채 증가(2.7%) ▲교육비 부담(1.7%) ▲의료비 부담(1.4%) ▲주거비 부담 (0.7%) 순으로 나타났다.최근 1년간 물가가 가장 크게 올랐다고 느끼는 부문은 '식료품 및 외식비'라는 응답이 72.0%로 가장 높았다. 이어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 ▲금융 이자 비용(2.5%) 등이 뒤를 이었다.가장 부담이 되는 지출항목 또한 '식료품 및 외식비'로, 응답률은 54.1%였다. ▲에너지 비용(13.6%) ▲주거비(8.2%) ▲금융 이자 비용(7.3%) ▲의료비(6.0%) ▲교육비(5.1%) 등이 뒤를 이었다.일자리 안정성(또는 사업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하다'라는 응답이 43.1%에 달했다. 반면, '안정적이다'라는 응답은 26.5%에 그쳤다. '보통'이라는 응답은 30.4%의 비중을 기록했다. -
- ▲ ⓒ한국경제인협회
1년 후 가계경제 상황 전망을 묻는 질문에서는 '악화할 것'이라는 응답이 64.2%로 나타났다.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35.8%에 불과했다.현재를 100으로 했을 때 향후 1년 후 가계경제 상황이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서는 10%~0% 악화의 응답 비중이 25.1%로 가장 높았다. 이어 ▲0%~10% 개선(응답비중 24.1%) ▲20%~10% 악화(20.9%) ▲30%~20% 악화(17.9%) 등의 순이었다.한경협 측은 "이를 평균해보면 내년도 국민들의 가계경제 상황은 올해에 비해 5.2% 정도 악화될 것으로 인식됐다"라고 설명했다.1년 후 소득 전망을 묻는 질문에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52.1%,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47.9%이었다. 1년 후 지출 전망에 대해서는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54.2%로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45.8%)보다 높았다.국민들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물가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생필품 가격 안정화 조치(58.4%)를 꼽았다. 이어 ▲에너지 가격 안정 조치(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등이 뒤를 이었다.일자리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이 2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미래 유망 산업 분야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 및 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 및 공정성 확보(14.0%)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고용환경 개선지원(12.8%) 등의 순이었다.가계부채 분야에서 가장 필요한 정책에 대해서는 주거비, 교육비, 의료비 등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가 4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시행(31.6%) ▲취약계층 부채상환 지원(13.0%) ▲대출규제 강화(8.5%) 등이 뒤를 이었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장기간의 경기침체와 고물가로 국민들의 가계 형편이 매우 어려워지고 있다"라며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기업을 운영하기 좋은 환경 조성하고, 투자와 고용 확대를 유도하는 동시에 먹거리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