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순이익 56억달러 중 26% 직접 보조금사실상 中 국영기업 … 국가채무 증가 주범보조금 없는 K-배터리 … 올해 환급금도 0원
  • ▲ ⓒBYD코리아
    ▲ ⓒBYD코리아
    세계 1위 전기차 기업 BYD의 순이익 4분의 1이 알고보니 중국 정부의 보조금인 것으로 드러났다. 

    27일 BYD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회사가 중국 정부로부터 직접 수령한 보조금은 14억3400만달러(2조1032억원)이다.

    BYD의 지난해 순이익은 55억5000만달러인데, 이중 26%가 중국 정부 보조금이라는 소리다. 

    지난 2023년 6억3600만달러 수준이었던 보조금은 1년 사이 14억3400만달러로 2배 넘게 껑충 뛰었다. 

    업계에선 BYD가 중국 정부의 부채로 성장하는 사실상 '국영기업'이라고 지적한다. 

    중국 정부를 '뒷배'로 둔 BYD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BYD는 지난해 413만7000대를 팔았는데, 이는 전년 288만500대0 대비 43.4% 증가한 수치다. 

    다른 중국 전기차 기업들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리(Geely)는 같은기간 138만6000대를 판매해 59.8% 증가, 상하이자동차는 같은 기간 101만8000대를 판매해 12.2% 증가했다. 

    이는 테슬라가 같은기간 178만9000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1.1% 역성장 한 것과 대비된다.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BYD는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는 점을 악용해 하청업체에 대금을 미루는 방식 등으로 실적을 '마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K전기차·배터리는 한숨이 나온다. 정부 지원을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올해 한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예산은 1조5057억원으로, 전년 1조7640억원 대비 2600억원 가량 줄어들었다. 

    5300만원 이하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최대 580만원으로, 같은기간 최대 650만원보다 70만원 줄었다. 

    K배터리 상황은 더욱 암울하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그간 한국에서 법인세 환급금을 보조금처럼 활용해왔다. 

    하지만 전기차 캐즘으로 적자를 기록하면서 낼 법인세가 없어졌고, 당연히 환급금도 없어졌다. 

    현재 국회에선 적자여도 세액공제 혜택을 환급해주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다. 법인세 환급처럼 간접 환급이 아닌 직접 환급을 해주는 게 골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