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차 韓·日·中 경제통상장관회의 서울 개최'높은 수준' 한중일 FTA 추진에 긴밀 협의키로공급망 안정화·수출통제 소통 강화 등 협조
-
-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산업통상자원부
한국과 중국, 일본 경제통상장관들이 5년 만에 한자리에 모였다. 역내·글로벌 경제의 번영과 안정을 위한 3국 간 협력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한일중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성 대신, 왕 원타오 중국 상무부 부장이 3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한일중 통상장관회의는 2019년 12월 중국 베이징회의 이후 6년 만이자 서울에서는 10년 만에 개최됐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5월 서울에서 개최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후속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안 장관은 모두발언에서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는 3국의 경제 협력 증진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해왔다"며 "최근 글로벌 경제·통상 환경이 급변하는 가운데 6년 만에 3국 경제통상장관들이 만나는 것은 국제사회에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이어 "지난해 5월 제 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3국 정상은 경제사회 전반에 대한 교류를 심화하고 미래 세대간 교류를 확대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이번 회의에서 3국 장관은 역내·글로벌 경제의 번영과 안정을 위한 3국 간 협력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재확인하고, 경제·통상 분야의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글로벌 통상 의제와 산업·에너지 분야의 협력을 중심으로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먼저 3국은 세계무역기구(WTO) 개혁,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신규 회원 가입 등 다자무역 체제 관련 이슈와 함께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한일중 FTA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동북아에서는 한국과 중국 사이 FTA만 체결된 상태다.또 지난달 열린 제9회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의 성공적 개최를 축하하고 2025 오사카·간사이 EXPO와 올해 한국, 내년 중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등 국제 행사들의 성공을 위해 협력하기로 합의했다.이와 함께 예측가능한 비즈니스 환경 조성, 공급망 안정화, 수출통제 관련 소통 강화, 녹색·디지털 경제 달성을 위한 산업·에너지 협력 강화 등을 비롯해 11월 대전에서 열리는 제23회 환황해 경제기술교류회의 등 지역 간 협력 분야에서도 긴밀히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차기 회의는 제10차 한일중 정상회의와 연계해 3국이 합의하는 일정에 따라 차기 의장국인 일본에세 개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