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2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 발표2분기 경기전망지수 80.7, 전년동기 대비 11.6p 하락
-
- ▲ 중견기업들이 2분기 전망도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연합뉴스
중견기업들이 2분기 경기전망에 대해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025년 2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8일까지 중견기업 8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직전 분기보다 다음 분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고, 100 미만이면 반대라는 의미다.이번 조사에서 2분기 경기전망지수는 80.7로 집계됐다. 1분기보다 0.4p 소폭 상승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11.6p 하락했다.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보다 1.4p 오른 82.6으로 확인됐다. 1차 금속(66.3, 4.6p↑)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면, 식음료품(64.1, 19.4p↓), 자동차·트레일러(76.8, 7.9p↓) 등 대다수 업종에서 전반적인 하락세가 나타났다.
비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79.5) 대비 0.7p 감소한 78.8로 조사됐다. 운수(78.0, 11.2p↓) 업종의 하락폭이 가장 컸고, 부동산(63.7, 7.2p↓), 출판·통신·정보서비스(78.8, 4.3p↓) 업종이 뒤를 이었다.
수출전망지수는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94.1) 대비 3.1p 상승한 97.2를 기록했으나, 여전히 부정 전망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제조업 수출전망은 전분기(91.7) 대비 7.9p 올라 99.6으로 집계됐다. 식음료품(124.2, 28.8p↑)과 1차금속(99.5, 22.7p↑) 업종에서 상승폭이 컸다.
내수·생산·영업이익·자금사정 등 주요 실물지표 전망은 전분기 대비 모두 하락했다.
내수전망지수는 76.7로 전기 대비 3.4p 줄었는데, 124.2의 수출 전망을 제시한 식음료품(64.0, 20.9p↓) 업종도 내수에서는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생산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0.8p 낮아진 90.3을 기록했다. 긍정적인 수출 전망을 내놓은 식음료품(82.9, 17.9p↓)과 1차금속(74.9, 13.0p↓) 업종에서도 생산 전망지수가 하락한 데에는 내수부진의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보인다고 중견련은 설명했다.
영업이익전망지수는 83.1로 전분기 대비 3.1p 감소했다. 전자부품(88.7, 21.5p↑) 업종에서 전분기 대비 크게 늘었지만, 식음료품(69.4, 19.1p↓) 업종에서는 반대로 크게 줄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견기업의 높은 경제 기여도를 감안할 때 중견기업계의 부정적인 경기전망이 지속되는 사태를 엄중하게 인식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급격한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해 수출과 내수 전반의 활력을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내수부진(59.1%), 인건비 상승(40.9%), 원자재 가격 상승(30.4%), 환율 변동(27.0%) 등 중견기업의 고질적인 경영 애로를 해소하는 데 정부와 국회는 물론 각계의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