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베트남 산업공동위·FTA 공동위 개최2030년까지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 목표현지 진출기업에 "상호관세 피해 최소화"
-
- ▲ 안덕근 산업통상부 장관 ⓒ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의 관세조치 등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베트남을 방문해 장관 회담을 가지고 양국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을 협의했다. 삼성과 현대자동차 등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등 대미 통상현안 등을 논의했다.14일 산업부에 따르면 안 장관은 베트남 산업무역부를 방문해 응우옌 홍 지엔 산업무역부 장관과 제14차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산업공동위)·제8차 한-베 FTA 공동위원회(FTA공동위)를 개최했다.산업공동위에서는 2022년 6월 하노이 양국 정상회의에서 설정한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방안과 베트남 원전 협력,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협력 및 청정에너지 협력을 비롯해 유통분야 국장급 정책회의 재개와 섬유·의류 산업 투자 협력 등에 관한 합의가 이뤄졌다.지난해 기준 한국과 베트남 교역 규모는 우리나라 기준으로 수출 583억달러, 수입 284억달러로 중국(2729억달러)과 미국(1999억달러)에 이은 3위 교역국이다.산업공동위에 이어 열린 FTA 공동위에서는 수출기업 비용절감과 통관절차 간소화를 위한 FTA 개정, 전기안전 인증기관 확대, 농축산물 수출입 품목 확대, 양국 수입규제 현황 등 주요 현안을 점검하고 양국 기업들의 한-베트남 FTA 활용 제고를 위한 협력방안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졌다.공동위 개최 이후 양국 수석대표 간 '2030년까지 양국 교역액 1500억달러 달성을 위한 이행방안 MOU'에 서명했다. 양국 원전 담당국장 간 원전 협력 MOU 서명도 이뤄졌다. 또 한국전력이 베트남 국영 송전회사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산업 분야 MOU를 체결하는 등 정부 간 2건, 기관 간 1건의 MOU를 체결해 무역, 원전, 전력망·에너지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했다.안 장관은 이날 오후 베트남 하노이 호텔에서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SK, GS에너지, 한화에너지, 두산에너빌리티, HS효성, 포스코 등 베트남 진출 기업 16개 법인 관계자들과 현지 진출기업 간담회를 진행하며 최근 미국의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조치로 인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최신 동향과 대응방안을 공유했다.안 장관은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는 물론 베트남 정부와도 고위급 회담과 정부 간 협의체를 통해 지속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