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hy 프로바이오틱스 클래스' 열려5091종의 균주 라이브러리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발굴연간 9억개의 프로바이오틱스 생산 … 영역 무한 확장 중
-
- ▲ 이철호 hy 중앙연구소 유제품팀 팀장이 프로바이오틱스 원리에 대해 설명 중이다.ⓒ최신혜 기자
"hy는 한국인의(장에서), 한국인에 의한(hy에서 개발한), 한국인을 위한(국내에서 생산한), 세계 수준의 K-프로바이오틱스를 만들어가는 것이 꿈입니다."15일 오후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hy빌딩에서 만난 김주연 hy 중앙연구소 신소재 개발팀 팀장은 "hy는 무려 반세기 동안 프로바이오틱스 역량을 키웠다"며 이같이 밝혔다.이날 hy는 ‘프로바이오틱스 클래스’를 열고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념부터 개발, 적용과정과 함께 hy의 역사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hy는 '직접 개발'한 국내 균주를 사용한 제품을 '생산'해 소비자의 '집 앞까지 유통'하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hy는 자사 히스토리를 밝히기 전 프로바이오틱스의 역사와 개념부터 상세히 설명했다.이철호 hy 중앙연구소 유제품팀 팀장은 "2023년 기준 기능성 원료 중 프로바이오틱스 판매액이 약 9000억원에 달하며 홍삼 다음으로 많이 팔려나갔지만, 정확한 개념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이 팀장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 용어가 등장한 시기는 1953년이다. 독일 의사였던 베르너 콜라트가 유익한 세균에 대해 유해한 항생제와 대비되며 '건강한 삶의 발전에 필수적인 활성 물질'이라는 의미로 프로바이오틱스 용어를 제안했다.유산균의 의미는 '탄수화물 당성분을 이용해 유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의 총칭'이며, 프로바이오틱스는 이 중 '인체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유산균'이다. 모든 유산균이 프로바이오틱스는 아니라는 의미다. -
- ▲ hy의 프로바이오틱스 제품들ⓒ최신혜 기자
프로바이오틱스는 종균 탐색, 종균 분리와 선발, 종균 배지 접종 및 배양 등의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각 지역의 전통적 발효제품, 모유 등에서 고유의 발효특성을 가진 미생물을 추출후 배양하는 형태다. 김치, 된장, 젓갈, 막걸리 같은 전통 발효 식품부터, 신생아의 분변이나 모유 등 인체에서도 수집한다.종균을 증식시켜 만든 배양물을 본배양 시 넣어 시럽 혹은 동결 건조 형태로 제품화하게 된다. 시럽과 조합된 제품은 야쿠르트 등 액상프로바이오틱스로 재탄생하고, 동결건조된 제품은 액상과 분말 형태로 생산된다.이 팀장은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적용돼 유해균이 붙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유익한 물질을 흡수를 빠르게 돕고 면역을 조절한다"며 "다만 섭취 후 2주 정도면 대변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존재해, 꾸준하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 ▲ 무당발효유인 '야쿠르트 XO'를 제조해보는 시간ⓒ최신혜 기자
이 자리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직접 무당발효유인 '야쿠르트 XO'를 제조해보는 시간도 주어졌다.'야쿠르트 XO'는 저당 트렌드에 따라 올해 hy가 출시한 무당 액상 발효유다. 저당은 제품 100g당 당류가 2.5g 미만인 제품을, 무당은 0.5g 미만인 제품을 의미한다.시럽 210g과 배양액70g을 공병에 담은 후 마이크로 피펫 도구를 사용해 약간의 향료를 첨가하면 된다. 매우 신 맛의 배양액이 시럽, 향료 첨가 후 익숙한 야쿠르트 맛을 변화하는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XO 제품은 무당이지만 맛이 진해, 일반 야쿠르트 제품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 -
- ▲ hy는 다양한 제품을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을 리딩 중이다. ⓒhy
다음 연사로 나선 김주연 hy 중앙연구소 신소재 개발팀 팀장은 hy의 프로바이오틱스 역량에 대해 설명했다.김 팀장에 따르면 hy는 1969년 창업이후 사업 초기 일본에서 종균 앰플을 들여왔는데, 공정 중 배양에 실패했다. 이어 1995년 국내 최초로 한국형 비피더스 유산균 'HY8001' 균주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현재 hy는 국내 최초 프로바이오틱스 액상 발효유인 '야쿠르트 라이트'를 포함해 위건강 특허 유산균을 함유한 노벨상 발효유 '윌', 기능성 간 건강 발효유의 시초이자 국내 첫 이중제현 '쿠퍼스', 국내 첫 장 건강 이중제형 프로바이오틱스 '엠프로', 국내 첫 멘탈케어 프로바이오틱스 '쉼', 국내 최초 위 건강 이중제형 프로바이오틱스 '윌 작약' 등 브랜드를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을 리딩 중이다.김 팀장은 "특히 hy는 약 5091종의 균주 라이브러리를 통해 한국인들에게 잘 맞는 프로바이오틱스를 발굴하고 산업화하고 있다"고 밝혔다.균주특허만 총 76건에 달한다. 개별인정형원료 7종, 특허균주 59종을 보유 중이다.또 약 250여종의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보유해 고기능성 식품, 건강기능식품 소재 발굴 및 산업화에 적용 중이다.김 팀장은 "현재 hy에서는 연간 9억개의 프로바이오틱스를 생산 중"이라며 "2022년 고시형 프로바이오틱스 매출 1위를 달성하기도 했다"고 했다.이어 "라면이나 스낵 신제품의 경우 평균 개발기간이 1년 미만이지만, hy의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스 평균 개발기간은 무려 5~6년이나 걸린다"며 "킬팻 유산균 균주 발굴 후 산업화에 20년이 소요됐고 30억원의 개발비가 투입됐다"고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개발의 어려움에 대해 설명했다.김 팀장은 "hy는 장을 넘어, 신체 전체를 이롭게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연구해나갈 것"이라며 "생균인 프로바이오틱스 이외에도 사균, 균체성분, 대사물 등 건강에 유익한 물질을 연구 중"이라고 했다.또 "연구 영역을 확대해 인체 뿐 아니라 반려동물 건강에 대한 연구까지 꾸준히 진행해나가고 있다"며 "hy는 꾸준한 균주 기반 제품 개발을 통해 국민 건강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