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루·태웅 등 신재생 에너지주, 최근 한달간 급등李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에너지 정책 기대감↑“신재생 에너지 업종들에 대한 변화가 가장 클 것”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6·3 조기 대통령선거에서 제21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가운데, 국내 증시에서는 신정부 정책 수혜주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주에 주목하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국내 태양광 기업 파루는 최근 한 달간 532원에서 1180원으로 121.80% 폭등했다. 이는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2868곳 중 수익률 기준 상위 5위 수준이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1억4150만주, 1488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또 다른 신재생 에너지 관련주인 태웅도 82.85% 급등했으며 ▲HD현대에너지솔루션(82.52%) ▲대명에너지(60.81%) ▲한화(60.33%) ▲씨엔플러스(54.89%) ▲광명전기(47.02%) ▲수산인더스트리(35.47%) ▲SK이터닉스(25.84%) 등이 동반 상승했다.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신재생 에너지 관련 종목들이 일제히 상승했다. 한화자산운용의 ‘PLUS 태양광&ESS’는 이 기간 20.49% 올랐고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Fn신재생에너지(20.11%)’ ▲삼성자산운용 ‘KODEX 신재생에너지액티브(19.80%)’ ▲타임폴리오자산운용 ‘TIMEFOLIO K신재생에너지액티브(10.51%)’ ▲NH아문디자산운용 ‘HANARO Fn친환경에너지(3.26%)’ 등도 강세를 나타냈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이 대선 후보 시절 에너지 정책으로 신재생 에너지 관련 공약을 쏟아내면서 정책 기대감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 당선인은 대선 후보자 TV 토론회에서 “전 세계가 기후 위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사회로 전환되고 있는데, 우리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대책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해 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을 대대적으로 신속하게 키워야 한다”며 “원전의 경우 활용은 하되 너무 과하지 않게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전환해 가자”고 말했다.

    이 당선인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기후에너지’ 공약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는 오는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 고속도로와 2040년 완공을 목표로 ‘U’자형 한반도 에너지 고속도로를 건설키로 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 이익을 지역 주민에게 공유하는 ‘햇빛·바람 연금’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도 약속했다.

    또한 제21대 대선 공약집에 기존 10대 공약에는 없던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을 넣었다. 기후 에너지 정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기고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위기 대응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목표다. 이 당선인은 “산업 경쟁력 약화, 기후 위기로 인한 피해 등 복합 위기를 풀기 위해선 이를 위한 정책도 포괄적이고 통합적이어야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기후·에너지·인권 등 다양한 문제에 산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해 탄소중립의 초석을 놓겠다고 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직전 정부 정책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라며 “이재명 당선인은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고 원전과 재생에너지 간 믹스로 전력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신재생 에너지 업종들에 대한 변화가 가장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재생에너지 확대는 글로벌 추세기 때문에 대선 결과와 상관없이 정책 모멘텀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안주원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대기업들의 RE100 선언으로 태양광 수요가 많아지고 있고 정부의 자국산 보호 조치도 발표됐다”며 “태양광 산업에서 국내 영업 환경도 좋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간 국내 증시에서 신재생 에너지 관련 종목들이 기대감을 선반영하며 강세를 보여왔던 만큼 대선 이후 조정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그간 코스피 시장에서 대선 후보들의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는데, 대선 이후 차기 대통령이 확실시되면 신정부 정책으로 인해 주가가 상승한 업종에 대해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며 “차익실현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상법 개정안 등 한국 주식시장의 배당 성향·자사주 매입을 확대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정책이 시행될 경우 외국인 자금은 정책 시행을 확인한 이후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