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6% 오른 2770.84 마감 … 코스닥 1%대 ↑국고채 금리 일제히 상승 … 장기물 중심 오름폭 확대“변동성 확대 유의” vs “상당 부분 선반영” 의견 엇갈려
-
- ▲ ⓒ뉴데일리DB
6·3 조기 대통령선거를 치르고 신정부가 출범한 이후 처음으로 열린 금융시장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 5000 시대’를 약속한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 기대감으로 국내 증시는 급등했지만, 대규모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대한 우려로 국고채 금리도 일제히 상승(가격 하락)했다.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2698.97)보다 71.87포인트(2.66%) 오른 2770.84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 대비 38.95포인트(1.44%) 상승한 2737.92로 출발해 장중 오름폭을 크게 확대했다.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이 1조2257억원을 순매도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조507억원, 204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견인했다. 거래량은 4억8585만주, 거래대금은 11조9489억원으로 집계됐다.업종별로는 증권(8.14%), 보험(8.03%), 금융(6.46%) 등이 강세를 나타냈고 전기가스(-0.57%), IT(-0.37%), 제약(-0.03%) 등은 약세였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종목별로는 삼성전자(1.76%), SK하이닉스(4.82%), 삼성바이오로직스(0.29%), LG에너지솔루션(1.41%), KB금융(7.90%) 등 대형주 전반이 상승 마감했다.코스닥 지수도 전장(740.29)보다 9.92포인트(1.34%) 오른 750.21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투자자들은 코스닥 시장에서도 3046억원어치를 팔아치운 반면 외국인은 1483억원, 기관은 1753억원어치를 사들였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8억4066만주, 6조7188억원을 기록했다.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자본시장 구조 개혁·증시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그간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 ▲기업지배구조 투명성 향상 ▲외국인 투자 여건 개선 등을 강조해 왔다. 주가를 한 번이라도 조작하면 시장에서 영구 퇴출하는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비롯해 주주 충실 의무를 포함한 상법 개정,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지수 편입 등도 주장했다.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자신의 페이스북에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고 주가지수(코스피) 5000 시대를 열겠다”며 “국민이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공정·투명한 시장을 만들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여당인 민주당이 의석수를 과반 이상 차지한 가운데, 제23대 차기 총선도 1000여일 이상 남은 상황”이라며 “코스피 5000 시대 공언(적극적 주식시장 부양), 상법 개정 등 정부 정책 시행 동력이 막강하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주식시장에도 강하게 반영되는 흐름”이라고 설명했다.이날 증시 상승과 함께 국고채 금리도 일제히 급등세를 보였다. 신정부가 내수 경기 진작을 위해 30조원 이상의 대규모 추경 편성을 예고하면서 재정적자 확대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다. 특히 장중 진행된 국고채 30년물 입찰이 맞물리면서 장기물을 중심으로 약세가 두드러졌다.금융투자협회가 채권정보센터가 집계한 만기별 국고채 고시 금리를 살펴보면 채권 시장에서 2년 만기 국고채는 전일보다 4.6bp(1bp=0.01%포인트) 오른 2.378%, 3년 만기 국고채는 7.4bp 상승한 2.414%에 거래를 마쳤다. 5년물과 10년물은 각각 8.7bp, 10.1bp 오른 2.602%, 2.894%다. 장기물인 20년, 30년, 50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11.8bp, 13.1bp, 13.3bp씩 급등했다.시장에서는 이 대통령이 가능한 신속하게 30조원 이상 규모의 추경을 편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0%대로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큰 만큼 신정부는 경제정책 분야를 최우선순위에 둘 가능성이 높다.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서대문구 신촌에서 사전 투표를 마친 뒤 “구체적인 추경 계획은 구상한 것도 있지만, 내수 경기 진작을 위한 지출이 가장 클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당선이 확실시된 전날 밤에도 “경제를 살리고 민생을 회복시키겠다”라고 강조했다.이재명 대통령의 경제정책 핵심은 국가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경기 회복이다. 다만, 2차 추경 편성은 재원 대부분을 적자 국채 발행 등으로 조달해야 하기 때문에 재정 악화는 불가피하다. 또 오는 8월 발표될 내년도 예산안도 확장적 재정 정책이 담길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채권 시장, 특히 장기물에 불리하게 작용한다.장중 진행된 30년물 입찰은 다소 둔화된 수요를 보였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5조6000억원 규모 30년물 입찰 응찰 규모는 11조8480억원으로 집계됐다. 응찰률은 211.6%를 기록했으며 낙찰금리는 2.790%다. 응찰률은 지난 4월 말 입찰 때(236.5%)보다 낮아졌다.김상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향후 국내 채권시장은 2차 추경과 내년도 예산안 등 확장재정정책발(發) 공급 부담을 반영하며 장단기 금리차 확대(커브 스티브닝) 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2차 추경은 7월, 내년도 예산안은 8월로 예상되는데, 7~8월은 상호관세 유예와 미·중 무역 협상 유예가 종료되는 시점으로 3분기는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하며 관건은 확장재정 규모와 시기, 그리고 재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도 “신정부는 연평균 8.7%였던 문재인 정부보다 높은 예산 증가율이 전망되며 연간 200조원대 국고채 발행 고착화를 예상하는데, 이는 중장기적 커브 스티브닝 이슈로 판단한다”며 “사회·경제문제 해결에서 재정 정책이 우선권을 쥘 공산이 커 공격적 기준금리 인하 기대는 낮춰야 한다. 확장재정 구간에서 통화정책은 시장 안정 중요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일각에서는 추경 규모가 국채 시장에 상당 부분 선반영돼 있어 향후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최제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차 추경(30~35조 규모 예상) 집행 시 올해 연간 성장률 제고 효과는 0.3~0.4%포인트 수준으로 전망하며 당초 예상보다 큰 추경 규모를 감안할 때 한은의 추가 금리 인하 속도는 완만해질 가능성이 있다”며 “적자 국채 발행 확대는 수급에 일부 부담이지만, 추경 규모가 국채 시장에 상당 부분 선반영돼 있어 향후 영향은 축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