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코리아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16년만 쾌거중동수주 43% 급감…산유국 발주감소 대안 기대美 트럼프 행정부 규제완화…EU 탈원전폐기 가속삼성·현대·대우 유리…"민관협력·수익성 확보 관건"
  • ▲ 체코 두코바니 원전. ⓒ한국수력원자력
    ▲ 체코 두코바니 원전.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을 필두로 한 팀코리아가 26조원 규모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자력발전(원전) 수주에 성공하면서 건설업계에도 모처럼 화색이 돌고 있다. 국제유가 하락으로 산유국들의 발주 감소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번 수주는 국내 건설사들의 과도한 중동 의존도를 낮추고 원전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는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향후 원전산업 확대가 예상되는 미국·유럽시장 경우 진입장벽이 중동보다 높은 만큼 정부의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전날(현지시간) 체코 정부와 두코바니 원전 신규건설 최종계약에 서명했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이후 16년만에 원전 프로젝트 수주이자 첫 유럽 원전시장 진출이다.

    해당사업은 체코 프라하 남쪽으로 220㎞ 떨어진 두코바니와 130㎞ 떨어진 테믈린에 각각 2기씩 원전 4기를 건설하는 것이다.

    건설사중에선 대우건설이 시공, 두산에너빌리티가 주기기 공급 및 시공을 맡을 예정이다.

    이번 신규원전 계약은 극심한 수주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건설사들에도 상당한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건설통합정보서비스 통계를 보면 건설사들의 1~4월 해외수주 누적계약액은 105억달러로 전년동기 132억달러의 79%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해당기간 중동지역 수주액이 98억달러에서 56억달러로 42.9% 급감하며 전체 수주액을 끌어내렸다.

    업계에선 배럴당 60달러대 저유가가 하반기까지 지속돼 중동 산유국들의 재정악화와 발주 및 수주 감소 악순환이 반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원전사업 진출은 '해외사업 체질 개선'과 '탈중동'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게 업계 분석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연합(EU)을 중심으로 원전시장이 급성장할 조짐을 보이고 있어 건설업계도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

    현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원전 관련 안전규제를 대폭 완화하며 자국내 원전 설립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현재 100GW 수준인 원전 발전용량을 2050년까지 400GW 수준으로 늘리겠다는게 트럼프 행정부 목표다.
  • ▲ 두코바니 신규원전 조감도. ⓒ한국수력원자력
    ▲ 두코바니 신규원전 조감도. ⓒ한국수력원자력
    유럽에서도 탈원전 폐기 바람이 불고 있다. 독일에선 지난달 취임한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가 탈원전 정책 폐기를 검토하겠다고 했고 세계 최초 탈원전 국가로 꼽히는 이탈리아는 원자력기술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외 스웨덴·덴마크·체코·폴란드·스페인 등이 신규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건설사중에선 이번 팀코리아에 참여한 대우건설을 비롯해 대형원전, 소형모듈원전(SMR) 기술력을 보유한 삼성물산 건설부문, 현대건설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물산은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함께 현재 루마니아 SMR사업 기본설계에 참여중이며 스웨덴, 에스토니아 SMR시장 진출도 노리고 있다.

    현대건설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손잡고 9조5000억원 규모 불가리아 코즐로듀이 원전사업을 추진중이다. 미국 미시간주 펠리세이즈 지역에선 홀텍과 함께 2030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SMR 실증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아직 미국과 유럽 원전시장 진출은 걸음마 단계인 만큼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국내 건설사들은 구조물벽체 등 원전 기술력은 분명 상위권이나 주관사로서 사업을 주도하기엔 아직 역부족"이라며 "먼저 미국·유럽 현지기업 협력사로서 시공실적과 네트워크를 쌓고 연계수주를 노리는 방법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현지 인허가나 자금조달 일정 등을 고려하면 빨라야 2년후 첫삽을 뜰 수 있고 그때 매출에도 반영될 것"이라며 "특히 원전은 장기 프로젝트로 공기가 연장되거나 공사비용이 급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해 사업 규모대비 수익성이 꼭 좋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유기적인 민관협력이 수반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인도 등 건설기업과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원전·에너지 등 고부가가치 부문으로 해외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해야 한다"며 "정부 주도 아래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과 관련규제 완화, 기술개발 지원 등이 병행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