헥토파이낸셜·카카오페이 등 두 관련주 자릿수 급등이재명 대통령, 가상자산 등 신산업 육성 공약 약속법제화 가능성 높지만 … 일각선 신중한 접근 요구
  • ▲ ⓒ셔터스톡
    ▲ ⓒ셔터스톡
    국내 증시에서 토큰증권(STO)·스테이블코인 등 가상자산 테마주들이 일제히 강세다. 여당으로 변신한 더불어민주당이 미래 금융의 핵심 자산들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던 만큼 정책 추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하면서다.

    특히 증권가에선 이재명 정부 초대 정책실장에 기용된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에 주목하고 있다. 김 실장은 일찌감치 블록체인, 가상자산 등에 큰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기준 대표적 STO 관련주로 꼽히는 헥토파이낸셜은 전장(1만9560원)보다 10.69% 오른 2만16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은 각각 199만주, 461억원을 기록 중이다. 또 다른 토큰증권 관련주인 ▲다날(7.45%) ▲아이티센글로벌(3.79%) ▲우리기술투자(3.05%) ▲한화투자증권(2.45%) 등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같은 시간 스테이블코인 테마주로 분류되는 카카오페이는 전 거래일(4만9500원)보다 13.54% 오른 5만6200원에 거래 중이며 ▲카페24(1.86%) ▲NHN(1.85%) ▲인포바인(1.82%) 등도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이들 종목은 이달 들어 본격적인 강세를 보였다. 헥토파이낸셜은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46.41%나 폭등했고 ▲갤럭시아머니트리(45.68%) ▲다날(36.27%) ▲핑거(31.53%) ▲카카오페이(30.78%) ▲아톤(23.43%) 등이 동반 급등세를 맞았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STO·스테이블코인 활성화 공약을 내걸었던 만큼 정책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토큰증권은 부동산, 미술품 등의 실물 자산을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화한 자본시장법상 증권이며 스테이블코인은 달러화 등 기존 화폐에 가치가 고정된 가상자산(암호화폐)이다.

    앞서 민주당은 STO와 관련해 ▲국채, 미술품, 특허 등 전통적인 증권으로 거래되지 않던 자산들의 제도권 거래 허용 ▲장외 유통플랫폼 제도화를 통한 유동성 제고 ▲공정한 가치평가 및 회계감사, 권리관계 확인 체계 구축 등을 대선공약집에 담았다 .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이재명 정부 초대 정책실장에 김용범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임명되면서 도입 기대감이 커졌다. 김 실장은 지난 2022년부터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인 해시드의 싱크탱크 해시드오픈리서치 대표를 지낸 인물로,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관련 보고서 발간을 주도해왔다.

    김 실장은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재직 당시 ‘실명 확인 입출금 계정 서비스’ 등 가상자산 거래 생태계를 정비했다. 지난 3월에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필요성과 법제화 제안’ 보고서를 내고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강점을 살린다면 원화는 타국 화폐 대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증권가에서도 STO 법제화와 스테이블코인 도입 가능성을 높게 점쳤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토큰증권 관련으로 발의된 주요 법안들은 입법 방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 향후 법안 통과 가능성은 높다”며 “규제 정비는 제도적인 측면에서 토큰 증권을 통해 기존 금융시스템이 다루지 못했던 실물 기반 자산에 대한 소액투자 시장을 제도권으로 편입시키기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 마련이 핵심 과제”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도입은 단순한 기술 도입의 측면을 넘어 금융시스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특히 미국을 필두로 한 주요국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국내 법·제도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미래 금융의 경로와 산업 지형이 달라질 수 있다”고 부연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미 법제화가 여러 차례 지연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정책 싱크탱크에 김용진 교수가 참여하면서 디지털자산 법제화 추진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더욱 높아졌다”면서도 “다만 업계에서는 대선 이후 조속한 법제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면서도 경선 이후 법제화가 지연됐던 이전 사례가 있었던 만큼 신중하게 진행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