勞 "직원·계약자 살릴 해법은 매각뿐" … 與 노동정책 기조에 기대감민병덕 "금감원 정책 실패가 사태 촉발 … 勞·당국 구조조정 공감대 형성"
-
- ▲ MG손해보험 노동조합은 12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수도권 전체 임직원 연차투쟁 결의대회'를 열었다.ⓒ박정연 기자
MG손해보험 노동조합이 금융당국의 ‘가교보험사 전환’ 결정에 반대하며, 정상매각을 통한 자율 구조조정 방안을 대통령실에 직접 요구하고 나섰다. 노조는 고용불안과 생존권 침해를 주장하며 현 정부 차원의 정책 조정을 촉구하고 있다.MG손보 노조는 12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정상매각 쟁취 및 생존권 사수 조합원 결의대회'를 열고 금융당국의 계약이전 추진 중단과 정상매각을 공식 요구했다. 노조는 이날 가교보험사 전환 결정 철회를 요구하는 청원도 제출했다.배영진 MG손보 지부장은 "회사가 어려워지고 적자가 나면 모든 것을 노동자의 책임이라며 노동자를 길거리로 내몰고 있다"며 "가교보험사로 일부 인력을 승계하겠다고 하지만 6개월 계약직 신분"이라고 지적했다.이어 "정상매각을 통해 노동자를 지키고 이를 통해 계약자와 영업가족 모두 살 수 있는 길을 찾아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노조는 가교보험사 설립이 약 500명의 임직원과 700명의 설계사 고용을 위협한다는 입장이다. 일부 인원만 고용이 보장돼 사실상 대규모 인력이 해고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한편 금융당국은 가교보험사 설립을 공식화하고 관련 절차에 착수한 상태다. 예금보험공사는 지난 22일 예금보험위원회를 통해 보험업법상 최소 자본금 300억원을 출자하기로 의결하고 삼성화재, DB손보, 현대해상, KB손보, 메리츠화재 등 대형 손해보험사 5곳과 함께 공동경영협의회를 발족했다.금융위원회도 지난달 정례회의에서 MG손보 신계약 체결과 신규 영업을 금지하는 일부 영업정지를 의결했다. 3분기 내 가교보험사 설립과 1차 계약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정권 교체 이후 노조의 요구가 일정 부분 반영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21대 대선 과정에서 현 여당이 사무금융노조와 노동자 보호 정책 등을 제시했던 만큼 MG손보 사태 역시 정부 차원의 중재 가능성이 있는 사안으로 평가된다.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장은 지난 10일 MG손보 노조의 단식 농성 현장을 찾아 "이번 가교보험사 설립 사태는 단순한 기업 부실이 아니라 금융당국의 감독 실패와 정책 판단 미스로 발생한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민 의원실에 따르면 노조와 당국 간 실무 협의 과정에서 구조조정 방식을 둘러싼 일정한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퇴직을 전제로 한 교섭 방식에 대해 양측 모두 강하게 반대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