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부 이번주 방침 통보…확정시 생산량 저하 가능성바이든 정부도 '디리스킹' 시행…"피해 제한적" 전망WSJ "최종 확정 아냐"…국내사 무기한 유예 사례도
  • ▲ 중국 시안의 삼성 반도체 공장. ⓒ연합뉴스
    ▲ 중국 시안의 삼성 반도체 공장. ⓒ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중국내 공장에 대한 미국산 장비 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는 방침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업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해당 방침이 현실화될 경우 생산량 저하 등 일부 피해가 예상되지만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예외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보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수출통제부문 책임자인 제프리 케슬러 산업·안보 담당차관은 이번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해당 방침을 통보했다.

    이번 방침은 중국 현지 공장에 미국 반도체 제조장비를 공급할 때마다 허가받지 않아도 되는 조치를 취소하는 것이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 1위 TSMC에도 같은 방침이 통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조치는 중국내 공장에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램리서치, KLA 등 미국업체 반도체 장비가 들어가는 것을 사실상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이번 조치로 미국산 장비 반입이 제한되더라도 국내 반도체 기업 피해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이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 때부터 미국이 반도체 패권을 쥐기 위한 '디리스킹'(de-risking·위험제거·핵심 기술 공급망에서의 중국 배제를 의미) 정책이 시행된 탓에 국내 기업들도 대응책을 세울 수 있는 시간이 있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미국이 방침을 유예하거나 철회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WSJ도 상무부 산업·안보국이 주도한 이번 방침은 미국 정부내 다른 부서의 동의를 완전히 받은 상황은 아닌 만큼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최종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전했다.

    또한 앞서 미국 정부는 2022년 10월 미국산 장비와 기술이 포함된 반도체 제품의 중국 수출 통제를 발표하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의 중국내 공장에 대해선 적용을 1년간 유예한 바 있다.

    2023년엔 두 기업을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로 지정, 해당 방침 적용을 사실상 무기한 유예시켰다.

    반도체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의 이번 조치는 중국 기업을 제재하려는 것으로 중국 내에서 생산하는 외국기업에 타격을 주기 위한 조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과거처럼 중국을 제외한 기업에 대해선 예외 조치가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