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첫 과기정통부 장관에 배경훈 LG AI연구원장 발탁국내 대표 AI ‘엑사원’ 개발 주도 … LGU+서 적극적 사업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개발한 하정우 수석과 손발 맞춰
-
-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LG
이재명 대통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에 배경훈 LG AI 연구원장을 낙점하면서 한국형 AI 산업에 보다 힘이 실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배 장관 후보자가 LG의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EXAONE)’의 개발과 발전을 이끈 AI 전문가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LG전자를 비롯해 LG유플·LG CNS·LG헬로비전 등 LG그룹 ICT 계열이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앞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이 AI미래기획 수석으로 발탁됐다. 이로 인해 네이버 주가가 연일 상승하며 정책 수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다.특히 국산 AI 개발을 주도하던 두 인사가 AI 관련 부처 등에 영입되면서 한국형 AI 산업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23일 이재명 대통령은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인사 중 한 명이 바로 배 후보자다. 민간출신으로 장관 후보에 오르는 그는 LG그룹 AI 전략의 중심에 있던 인물이다.삼성탈레스와 SK텔레콤 미래기술원 등을 거쳐 2016년 LG그룹에 합류한 그는 LG경제연구원, LG유플러스, LG전자 LG사이언스파크 등에서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주도했다. 특히 2020년 LG그룹이 AI 역량 강화를 위해 설립한 LG AI연구원의 초대원장으로 발탁돼 그룹의 중장기 AI 전략을 수립했다.실제 업계에서는 LG의 토종 초거대 AI모델 ‘엑사원’의 개발의 일등공신으로 배 후보자를 꼽는다.현재 ‘엑사원’은 국내 대표 토종 AI 모델로 꼽히고 있다. 단순한 언어 모델을 넘어 멀티모달 능력을 갖추어,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학습하고 사고·판단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특히 LG그룹의 통신계열사 LG유플러스가 ‘엑사원’을 기반으로 한 소규모 언어모델 ‘익시젠(ixi-GEN)’을 통해 다양한 사업분야에 영토를 확장 중이다. 상담 자동화 뿐 아니라 대화 요약, 챗봇을 비롯해 최근에는 AI 고객상담센터 사업까지 진출했다.이재명 정부의 AI 전문가 발탁은 하 AI수석 이후로 두 번째다. 하 AI수석이 네이버의 거대언어 AI모델 ‘하이퍼클로바X’ 개발을 총괄했다는 점에서 배 장관 후보자와 일맥 상통하는 지점이 있다.업계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던 ‘토종 AI’ 개발에 네이버와 LG가 각각 역할을 하지 않겠냐는 전망까지 나온다.이날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배 장관 후보자에 대해 “AI 학자이자 기업가로 초거대 AI 상용화로 은탑 산업훈장을 받은 분”이라며 “AI 3대 강국을 위해 어렵게 모신 분으로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함께 AI 기술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