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중노위에 조정신청. CJ대한통운 입박쟁의조정 오는 30일까지, 파업 가능성도㈜한진-노조, 핵심쟁점 두고 이견만 확인 중롯데글로벌로지스, 주 7일 동참 움직임
  • ▲ 택배업계가 주 7일 배송을 시행하며 진통을 겪고 있다. ⓒ뉴데일리DB
    ▲ 택배업계가 주 7일 배송을 시행하며 진통을 겪고 있다. ⓒ뉴데일리DB
    올해 들어 택배업계의 주 7일 배송이 본격화되고 있다. 하지만 주 7일 배송 시행 이후 여러 갈등이 불거지면서 진통을 겪고 있는 분위기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은 올해 1월 5일 주 7일 배송을 시작했다. CJ대한통운은 지난해 하반기 대리점연합회,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등 이해 관계자들과 주요 쟁점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고 지난 1월 14일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일부 대리점의 고율 수수료 인하 문제 ▲주 7일 배송에 따른 추가 수수료 인상 문제 ▲산재보험료 부담 문제 등 핵심 쟁점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이에 택배노조는 이달 10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면서 핵심 쟁점에 대한 사측의 결단을 촉구했다. 

    일반적으로 대리점들은 택배기사들에게 5~15% 수준의 대리점수수료를 공제하고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20~30%에 달하는 수수료를 제하고 있다. 

    산재보험료의 경우 일반 근로자들은 사측이 전액 부담하고 있지만 택배기사와 같은 특수고용노동자들의 경우 노사가 절반씩 부담하고 있다. 

    수년 전 산재보험료 책정 기준이 변경되면서 산재보험료가 상승했는데, 일부 대리점에서는 추가 부담분에 대해 택배기사에 전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게 노조 측 설명이다. 

    쟁의조정은 당초 이달 20일까지였는데 양측이 추가적인 대화를 갖기로 해서 오는 30일까지로 연장됐다. 

    만약 이날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중노위가 조정중지를 결정할 경우 노조는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합법적인 쟁의권 확보에 나설 수 있다. 이후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수도 있다.  

    CJ대한통운 측은 “원만하게 교섭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당 부분 접근이 이뤄졌다”고 말했다. 최근 사측이 산재보험료 전액 지급 입장을 나타낸 걸로 알려지면서 원만하게 교섭이 타결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 ▲ 택배노조가 4월 17일 한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모습. ⓒ김재홍 기자
    ▲ 택배노조가 4월 17일 한진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모습. ⓒ김재홍 기자
    ㈜한진은 지난 4월 27일부터 주 7일 배송에 동참했다. 구체적으로 주요 고객사 대상으로 기존 수도권에서 제공하던 휴일배송 서비스를 주요 도시로 확대해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택배노조는 “회사가 아무런 대화 없이 일방적으로 주 7일 배송을 강행한다”면서 반발했다. 

    ㈜한진 측은 “급변하는 택배환경 속에서 회사의 집배점, 택배기사 모두 생존하기 위해 주 7일 배송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택배노조 측은 주 7일 배송 자체에는 반대하지 않지만 택배기사들의 과로위험 방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택배노조는 올해 4월 24일부터 한진 본사 앞에서 1인 시위, 농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일부 택배기사들은 부분 파업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대리점연합회와 택배노조는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핵심 쟁점에서 이견만 확인하고 있는 상태다. 

    롯데글로벌로지스도 주 7일 배송에 참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롯데글로벌로지스와 택배노조는 최근 주 7일 배송 도입과 관련한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 

    쿠팡의 로켓배송으로 택배시장의 변화가 시작된 데다, CJ대한통운, 한진이 주 7일 배송에 가세하는 추세에서 불가피한 선택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추진에 나서는 점도 택배업계의 변수로 꼽힌다. 

    노란봉투법이 통과되면 CJ대한통운 등 택배업체들은 대리점연합회가 아니라 업체들이 직접 노조와 교섭해야 한다.  앞서 택배노조는 지난달 11일 배송 속도경쟁 제한과 노란봉투법 시행 등을 차기 정부의 과제로 요구한 바 있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주 7일 배송이 말처럼 쉬운 게 아니며 여러 제반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면서 “소비자들이 빠른 배송을 원하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 모두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