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통위 의사정족수 3인이상 필요 개정안, 野 주도로 과방위 전체회의 통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회 회의 개최 조건을 최소 3인으로 하는 개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했다.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방송통신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개정안’(방통위 설치법)을 통과시켰다.개정된 방통위 설치법은 방통위 회의를 개

    2025-01-06 김성현 기자
  • [신년사]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 “미디어 통합법제 등 미래지향적 규제체계 마련할 것”

    방송통신위원회가 미디어 통합법제 마련 등 미디어 환경 변화에 맞춘 규제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김태규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직무대행은 3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시무식을 통해 직원들에게 신년사를 전했다.김태규 직무대행은 ”지상파 방송과 OTT 사업자간 협력이 활성

    2025-01-03 김성현 기자
  • 아이템 확률 거짓표기시 최대 3배 배상… 게임법 개정안 국회 통과

    확률형 아이템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거나 허위로 기재한 게임사에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국회는 31일 본회의를 열고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가결했다.개정안 통과로 게임사는 확률형 아이템 관련 정보를 누락하

    2024-12-31 김성현 기자
  • OTT 이용률 80% 육박… 콘텐츠는 숏폼이 대세

    국민 10명 중 8명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 중에서는 숏폼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방송통신위원회는 30일 ‘2024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매년 실시되는 국가승인통계로, 13세 이상 8316명을 대상으

    2024-12-30 김성현 기자
  • 상반기 수사기관에 제출한 통신사실확인자료, 전년比 15.3% 증가

    올해 상반기 통신사가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에 제공한 ‘통신사실확인자료’ 건수가 지난해 대비 15.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전기통신사업자가 제출한 상반기 통신이용자정보와 통신사실확인자료 제공, 통신제한조치 협조 현황을 발표했다.상반기 수

    2024-12-27 김성현 기자
  • 태국·사우디 등 4개국서 10명 중 7명 이상 “K-OTT 이용할 의향 있다”

    태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등 해외국가에서 한국의 OTT(온라인동영상플랫폼)를 이용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는 27일 국내 OTT의 해외 시장진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2024년 해외 OTT 시장조사와 이용행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해외 O

    2024-12-27 김성현 기자
  • 단통법 폐지안 국회 본회의 통과, 지원금 상한제 10년만에 폐지

    단말기 지원금 상한선을 설정했던 단말기 유통법이 10년만에 폐지됐다.국회는 26일 본회의를 통해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폐지 법안과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기존 단통법을 폐지해 단말기 지원금 공시의무와 유통점의 추가지원금 상한이 없어지

    2024-12-26 김성현 기자
  • 유료방송 중 IPTV만 ‘고공행진’… 지난해 매출 5조원대 돌파

    지난해 IPTV 매출이 5조원 대를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IPTV를 제외한 유료방송 가입자와 매출은 정체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25일 ‘202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2023년 국내 방송시장 규모는 방

    2024-12-25 김성현 기자
  • 유상임 과기부 장관 “통신비 절감 종합대책 내년 초에 내놓겠다”

    정부가 알뜰폰 활성화 등 통신시장 정책 발표 시점을 내년 1월로 연기했다.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3일 세종에서 간담회를 열고 통신 정책 현안 질의에 답변했다.과기정통부는 앞서 알뜰폰 도매대가 협상을 비롯한 활성화 방안과 단통법 폐지 이후 정책 방향, 제4이동

    2024-12-23 김성현 기자
  • 방통위·과기부,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출범

    방송통신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이하 협의체)'를 구성하고, 19일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협의체는 지난 11월 말 발표된 '불법스팸 방지 종합대책'에 따라 정부부처와 민간사업자의 상호 협력 및 공조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방통위

    2024-12-19 신희강 기자
  • 방통위, 구글·네이버와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잊힐 권리’ 논의

    방송통신위원회가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와 불법촬영물 삭제‧차단 지원을 위한 민‧관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협의회는 디지털성범죄 수법이 지능화 되고 2차 유포로 인한 피해자의 N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와 인터넷사업자가 지난해부터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이

    2024-12-18 김성현 기자
  • 데이터 사용량 분석한 '최적요금제' 추천… 내년 상반기 서비스 출시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에 맞춰 최적의 요금제를 추천해주는 서비스가 내년 상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실사용량 기반 최적 스마트폰 요금제 추천 서비스’ 등 5건을 규제 특례로 지정했다.2025년 3월부터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 시행으로 이용

    2024-12-18 김성현 기자
  • 지난해 OTT 매출 전년比 6.4% 증가… 유료방송 대체효과 심화

    OTT 서비스 매출과 이용률 등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유료방송을 대체하는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는 13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주요 현황과 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보고서에 따르면 방송시장에서 OTT 서비스의 영

    2024-12-13 김성현 기자
  • 방통위, 내년 예산 2423억원 확정… 올해보다 80억원 감액

    방송통신위원회는 2025년도 예산이 2423억원으로 확정됐다고 11일 밝혔다.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방통위 내년 예산은 올해 예산안보다 80억원 감소했다. 당초 정부안 2485억원보다는 62억원 줄었다.정부안에서 삭감된 항목으로는 운영지원과에서 3억원, 기획조정관에서

    2024-12-11 김성현 기자
  •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 “포털뉴스 공적책임 위한 제도개선 추진”

    김태규 방통위원장 직무대행이 포털 뉴스의 부작용을 우려하며 관련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방송통신위원회는 11일 포털뉴스 서비스 신뢰성과 공정성 확보를 주제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세미나를 개최했다.김 직무대행은 축사를 통해 “포털이 뉴스 콘텐츠 유통 생태계만 아

    2024-12-11 김성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