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 고도 압축화된 산업화를 거치면서 개인성, 국가주의가 심화됐다"

    윤석민 서울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한언론인회 주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교수는 "개인과 집단의 소통 영역이 조화를 이룰 때 이상적인 소통구조"라고 밝히며 "현재 한국의 소통 구조는 왜곡돼 있다"고 지적했다.

    # 한국사회 소통의 왜곡, 
    이기적 개인주의 대표적 예 '촛불시위'

    기사본문 이미지
    19일 열린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하는 윤석민 서울대 교수. ⓒ 뉴데일리

    윤 교수는 '한국사회의 소통구조와 언론의 문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의 언론이 총체적 위기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념적으로 분열된 신문, 불공정한 방송, 저급한 메시지들이 넘쳐나는 인터넷 등이 어지러운 언론의 단면들"이라고 지적하고, "이러한 언론의 위기 양상은 개별적 현상이 아닌 총체적인 미디어 구조 변화의 징후"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위기 양상은) 우리 사회 소통, 민주주의, 사회발전의 문제와 긴밀히 얽혀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사회에 혈연, 지연, 학연과 같은 강한 유사 공동체적' 연줄 망(개인적 네트워크)이 존재하는 건 사실이지만 이것들도 자신과 가족을 위한 이기성이 내재돼 있다"며 "그 중간을 채워주는 이웃, 지역, 네트워크, 시민성이 한국사회에는 잘 드러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이어 "시민성의 성숙이 없는 개인성과 국가주의의 대표적 예가 바로 올림픽, IMF, 월드컵, 황우석 사태" 등 이라고 지적하고 이러한 것들도 "개인적 욕망에 기반한 거품과도 같은 덧없는 애국주의"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기적 개인과 애국주의적 열망에 사로잡힌 국민의 문제점이 드러난 대표적 예로 지난해 '촛불 시위'를 꼽았다. 그는 사람들이 인터넷과 지상파 방송을 통해 전파된 광우병 괴담을 접하자 "무엇보다 자신과 가족의 건강이 위험에 처했다는 생각에 비이성적인 패닉상태에 빠져들었다"고 전했다.

    또 그는 국민과 사회의 소통 역할을 하는 미디어의 왜곡성도 지적했다. 그는 "가장 공정해야 할 지상파 방송이 선전과 선동이 판치는 사론장(私論場)으로 변질됐다"고 꼬집었다. 윤 교수는 그 대표적 예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방송', 'MBC PD수첩'의 광우병 방송, 최근 미디어법 개정을 둘러싼 MBC의 보도행태를 꼽았다.

    ⓒ 뉴데일리

    윤 교수는 "이러한 공중파의 불공정성을 바로잡기 위한 것이 바로 미디어법 개정"이라며  "다양한 사업자들과 미디어들이 미디어 시장에 자유롭게 진출할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주고 엄격한 사후평가를 통해 제재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정책"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윤 교수는 최근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공동위원장 김우룡 강상현)의 활동에 회의적 입장을 표하며 "과연 임시국회에서 미디어법이 통과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디어법을 둘러싸고 지난해와 같이 국회가 파국을 맞을거라면 차라리 좀 더 시간을 두고 차근히 생각해 보는게 낫지 않겠냐"는 의견도 조심스레 내비쳤다.

    # 사이버 상 악성 댓글, 사이버 모욕 등 폐해 심각
    인터넷 상 책임 갖도록 규제해야

    윤 교수는 사이버 상의 표현의 자유, 명예 훼손 등도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 사회는 전 세계에서 으뜸가는 인터넷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미네르바, 악성 댓글, 유언비어, 인터넷 명예훼손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회에서 도덕적인 삶을 지키기 위해 극악 범죄자를 차단해 시민을 보호하듯 인터넷을 공론의 장으로 만들기 위해 인터넷 소통 규제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