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벼랑 끝에서 회생방안을 모색해온 쌍용차가 노사간 협상 결렬로 파산 위기로 내몰리면서 국가경제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표면적으로는 쌍용차의 내수시장 점유율이 2∼3%에 불과하기 때문에 자동차 업계가 받는 타격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지난 2월 초 법정관리가 시작되면서 협력업체들의 채권이 묶이고, 파업사태가 70일을 넘기면서 협력사들의 피해도 이미 현실화된 상태다.

    따라서 이번 협상결렬로 말미암은 새로운 피해가 급증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쌍용차가 파산하면 이는 국내 완성차업체로서는 첫 사례인 만큼 자동차업계 등이 겪게 될 심리적 후유증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또 계량화하기 어려운 파장을 고려하면 쌍용차 파산이 국가경제에 끼칠 피해 규모를 정확히 가늠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일단 쌍용차 임직원 7천 명과 250개 협력업체 중 쌍용차에만 부품을 공급하는 55개 협력사 임직원 4천여 명은 파산과 동시에 직장을 잃게 된다.

    여기에 2,3차 협력업체까지 합하면 쌍용차 파산에 따른 실업자 수는 2만 명을 웃돌고, 부양가족까지 합하면 10만 명이 직.간접적인 피해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또 지역 경제의 쌍용차 의존도가 15%에 달하는 평택시는 경제 기반이 흔들리면서 치명타를 입을 것은 자명한 일이다.

    파산에 따른 피해 당사자 중에는 현재 전국적으로 108만명에 이르는 쌍용차 보유자들도 포함된다.

    협력업체의 도산 등으로 부품을 구하기가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부품 가격이 크게 오르면 쌍용차 보유자들은 웬만한 사고에도 폐차를 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중고차 가격도 급락해 쌍용차 보유자들의 피해가 커질 전망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자동차는 일생에 평균 3-4차례 정도 교체하는, 주택 다음으로 큰 자산"이라며 "쌍용차 보유자들이 느끼는 피해는 예상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쌍용차의 파산은 한국산 자동차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결국에는 국가신인도에 마이너스 요인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의 오바마 행정부가 파산 위기에 처했던 GM과 크라이슬러를 되살리는 데 총력을 기울인 것도 그런 맥락에서다.

    김 교수는 "정부는 자동차 업계의 노사관계 선진화를 위해 쌍용차를 본보기로 선택했을 수 있지만 본보기치고는 그 후유증이 너무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