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용차 공장을 점거하고 있는 노조원들에 대한 경찰의 강제해산 작전이 진행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점거상태가 해소되더라도 회생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막대한 손실이 빚어진 상황에서 생산이 재개되더라도 판매가 기대만큼 따르지 않을 것이고 자생력이 빈약한 쌍용차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할 것으로 보이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카톨릭대 김기찬 교수는 5일 "쌍용차 노사가 마지막 교섭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회사의 회생 가능성은 거의 바닥 수준까지 내려갔다"며 "생산이 재개되도 자금 부족이나 영업망 붕괴 등으로 자력 생존하기 어려워 보인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미국 GM의 사례처럼 쌍용차가 우량자산만 남긴 `굿 쌍용'으로 거듭날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있지만 이는 채권단을 포함한 이해관계자 모두가 이 같은 자산 처분 및 회사 정상화 계획에 합의할 경우에 가능한 것"이라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특히 GM은 정부가 막대한 돈을 들여 채무를 보증해 줬기 때문에 새 회사로 거듭났지만 쌍용차의 경우 장기간의 파업으로 자생력이 매우 취약해진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가 국민들의 세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도 "쌍용차 노사가 구조조정 문제를 놓고 서로 양보를 못하면서 중요한 기회를 여러차례 잃었다"며 "지금으로서는 해법을 찾기 어려운 상태"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쌍용차가 택할 수 있는 마지막 회생방법이라면 일단 생산을 재개해 열심히 차량을 만들고 1천∼2천억원 수준의 유동성 자금을 어떤 방법으로든 마련해 운영자금으로 쓰는 것"이라고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물론 생산을 재개해도 브랜드 이미지가 추락했으므로 판매가 잘 안 될 것이고 애프터 서비스도 예전보다 훨씬 악화될 것"이라며 "판매 부진으로 발생하는 자금 공백은 정부나 금융권 등 외부에서 지원해주는 방법 외엔 없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외부의 지원을 받으려면 회사를 망하게 둬서는 안된다는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위한 노력을 쌍용차 스스로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그것만이 1%였던 회생 가능성을 10% 이상으로 올리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