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문 심포지엄에선 토론회도 열렸다. 이 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과 수문학을 연구한 교수들이 참여한 토론회에선 4대강 사업이후 관측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해야할 지,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수문정보가 실생활에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건설기술연구원 김연준 박사는 “(4대강 사업, 기후변화 등으로)지금처럼 우리나라에서 수문 조사가 강조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지금 수문조사는 정부, 농어천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환경부, 지자체 등이 담당한다”며 “지자체는 측정소가 1800개가 넘지만 홍수목적이지 유량측정은 안 한다. 지자체 자료를 활용하면 관측 밀도를 높일 수 있다”며 자료의 국가적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김 김박사는 또 국민에게 다가가는 수문정보가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인터넷 등으로 낚시정보를 활용하는 사람들의 접속이 의외로 많다. 레저활동을 하는데 수문정보를 알려주면 도움이 될 것”이라며 “날씨소식이 뉴스에서 꼭 나오듯, 어떤 강과 저수지에 수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려주는 수문정보도 채널도 머지않아 나올것”이라고 말했다.
여윤광 명지대 교수는 “4대강 사업으로 예전자료는 그대로 못쓰게 됐다. 이제는 4대강 이후 100년 동안 지속될 수문관측시스템을 만들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미국에서도 수위관측소를 줄인 적이 있다. 그랬더니 보트사업자, 낚시업자 등의 항의가 빗발쳤다. 그만큼 생활에 밀접하다. 4대강의 보 이용도가 높아질 것인데 국민들에게 어떤 정보를 제공해줘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용남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도 “지자체 수문 자료도 DB화 안됐다. 어떤 자료를 DB화할지 기준도 정하고, 단순 강우 수위 자료만이 아니라, 추세, 빈도 등 가공된 자료도 축적해야한다”고 밝혔다.
윤교수는 또 “4대강 16개보가 완성되면 수문관측망을 재설계해야한다”고도 주장했다.이에 관해 안시권 한강홍수통제소장은 “4대강 사업에도 수위측정시설 보강 증설 이설 등이 다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인천대학교 최계운 교수는 “강우량 조사 등 기본 자료는 지금 전국 지자체에서도 생산하지만 정확도를 확신할 수 없다. 국가에서 총괄할 수 있도록 수문조사원 등 국가기구를 운영해 통합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자원기술개발사업단장 김승 박사도 “물은 돈이다. 국가가 가진 재산은 물과 땅이다. 결국 물은 돈인데, 은행에 돈은 있지만 장부가 없으면 관리할 수 없다. 일본인이 식민지 정책을 할 때 수문조사를 먼저 한 것도 재산이라는 개념으로 한국의 재산이 아닌 자기들의 ‘재산’ 차원으로 한 것”이라고 수문조사의 중요성을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