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폐식용유, 삼겹살 기름 등 수거 전담반 구성
  • ▲ 지난 2010년 9월 서울 강동구 고덕동 자원순환종합센터에서 열린 바이오디젤 주유소 준공식. 이해식 강동구청장(가운데)과 폐식용유 수거에 동참한 신암중학교 학생들이 주유소 준공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지난 2010년 9월 서울 강동구 고덕동 자원순환종합센터에서 열린 바이오디젤 주유소 준공식. 이해식 강동구청장(가운데)과 폐식용유 수거에 동참한 신암중학교 학생들이 주유소 준공을 축하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남녀노소 누구나 즐겨먹는 삼겹살. 하지만 삼겹살에서 나오는 동물성 기름은 종량제 봉투나 하수구에 버려져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애물단지다. 그러나 잘만 활용하면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에너지로 변신할 수 있다.

    서울시는 8일 동식물성 기름 등 가정에서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수거해 경유차량의 연료인 바이오디젤유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현재 서울시내에는 연간 10만톤 정도의 폐식용유가 발생하고 있지만 전체의 71%는 종량제봉투나 하수구에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식물성기름은 전체의 65.1%가 가정에서 발생하지만, 대부분 소량으로 전체의 87.3%가 하수구나 종량제 봉투에 버려져 2차 오염원이 되고 있다.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동물성기름도 전체의 72.4%가 그대로 버려져 물과 땅을 오염시키고 있다.

    서울시는 수질오염 물질로 방치된 폐식용유 재활용을 위해 25개 자치구에 50명의 전담반을 구성, 수거에 나서기로 했다.

    우선 식물성 기름은 주 1회 이상, 동물성 기름은 부패 방지를 위해 여름철에는 주 2회 이상 수거한다. 또 아파트와 음식점 등에 폐식용유 수거용기를 보급, 적극적인 시민참여를 유도할 방침이다.

    시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 중 민간에서 수거가 원활하지 않은 곳에  2천8백개, 삼겹살집 등 소규모 음식점에는 1만5백개의 수거용기를 보급할 예정이다.

    현재 민간에서도 아파트 등에 수거용기를 설치해 폐식용유를 수거하고 있지만, 회수 주기가 길거나 용기관리가 미흡해 주민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수거된 폐식용유는, 자치구 지역자활센터에서 수집 → SR센터(서울자원센터)로 운반 → 1차 정제업체에 공개 매각 → 바이오연료 제조업체 또는 퇴비생산업체에 정제된 폐식용유 매각의 순으로 처리가 이뤄진다. 생산된 바이오디젤유는 대부분 정유사에 납품돼 일반경유에 2%이상 혼합, 사용하게 된다.

    폐식용유를 바이오연료 제조업체와 퇴비생산업체에 팔아 얻은 수익금은 자치구 등 폐유 수거분야에 재투자 하거나 일자리 창출에 쓰인다.

    시는 버려지면 오염원이 되는 폐식용유를 잘 활용하면 수입원료 대체와 환경오염 예방, 폐식용유 정화를 위한 물소비 감소 등 1석 3조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폐식용유 1L를 정화에는 20만배의 깨끗한 물이 필요하다. 특히 폐식용유 1만톤을 수거해 바이오디젤유로 사용할 경우 연간 2만톤의 CO2 저감과 연간 4억5천만원의 하수처리 비용이 절감된다고 시는 설명했다.

    황치영 서울시 기후변화정책관은 “동식물성 기름 등 시민 생활 속에서 나오는 오염원을 에너지로 만들어 환경도 보호하고 경제가치도 창출하겠다”며 “집안에서 쓰고 무심코 버리는 동물성․식물성 기름의 재활용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