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성장→회수·재도전] 생태계 조성유망 벤처기업이 자금 걱정 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 ▲ (사진=연합뉴스) 창조금융의 일환으로 정부가 조성한 [성장사다리펀드] 출범식 모습.
    ▲ (사진=연합뉴스) 창조금융의 일환으로 정부가 조성한 [성장사다리펀드] 출범식 모습.


◇ [성장사다리펀드]란?

대기업 위주의 
한국 경제 체질을 바꾸기 위해
정부가 [창조금융]의 일환으로 조성한
6조원 규모의 펀드입니다.

창업·혁신 기업을 중심으로 
충분한 자금을 공급하기 위해 
<금융위원회>가 조성
지난 8월 12일 출범한 이 펀드는

첫해인 올해 
<정책금융공사> 등 6천억원, 
민간이 1조4천억원을 출자해 
총 2조원이 만들어진 상태로, 

앞으로 3년간 
정책금융 1조8,500억원, 
민간 4조1,500억원 등 
총 6조원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이 펀드는 
성장 단계별로 
자금 공급 목적과 구조를 가진 
다양한 펀드로 구성돼 
벤처·중소기업이 
창업, 성장, 자금 회수 단계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 특징입니다.

◇ 성장 사다리 펀드, 왜 탄생했나

정부가 
민간과 정책자금을 끌어모아 
6조원의 [성장 사다리 펀드]를 만들기로 한 것은 
이른바 [죽음의 계곡]에 빠져 
창업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이 
성장하지 못하는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입니다.

창업→성장→회수·재도전으로 이어지는 
성장 생태계를 조성해 
유망한 창업기업이 
자금에 허덕이지 않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입니다.

[죽음의 계곡]이란 
창업 후 2∼3년이 지나 창업자금이 소진된 상태에서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금수요는 커진 시기를 말합니다.
또 창업 후 8∼9년이 지나 
초기 투자자의 자금 회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사업 확장에 필요한 자금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해당됩니다.

박근혜 정부가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발판을 마련하려면 
창업→성장→회수·재도전으로 이어지는 성장 생태계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창업기업은 
불확실성 때문에 리스크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자금 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는 중소기업 자금조달 금액의 99%가 융자로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금융위원회>와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2012년 말 현재 중소기업 자금 조달 실적 가운데 
은행대출과 정책금융 등 융자가 466조원이고 
주식과 회사채는 7천억원, 
벤처투자는 5조원입니다.

투자의 비중이 낮은 모양새를 보이고 있지요.

결국 정부는 
창업·혁신 기업을 중심으로 
기존의 벤처캐피탈 등이 지원하지 못했던 
[모험 투자]의 필요성을 인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 난립하는 벤처 펀드, 일원화해야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정부부처와 민간 기관들이 경쟁적으로 내놓은 
벤처투자 펀드를 관리할 창구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 정부가 창조경제 실현을 국정 과제로 내세우면서 
<금융위원회>가 6조원 규모의 [성장사다리펀드]를,
<미래창조과학부>가 5천억원 규모의 [미래창조펀드]를 내놨는데요,

이 밖에
<KB금융지주>, <삼성그룹>도 
민간 차원에서 
창조경제 관련 펀드를 조성할 계획을 세운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벤처투자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정자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부처 간 정책 방향에 대한 
 충분한 사전 협의와 조정을 거쳐 
 중복 지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