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장 누가 되느냐에 금융권 관심 집중
  • ▲ 2주 넘게 비어있는 수출입은행장 자리에 누가 오를 것인가에 금융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워크넷 블로그 blog.job.go.kr
    ▲ 2주 넘게 비어있는 수출입은행장 자리에 누가 오를 것인가에 금융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워크넷 블로그 blog.job.go.kr


    수출입은행의 수장 자리가 2주일 넘게 비어있다. 김용환 행장의 임기가 지난 6일 만료한 이래,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앞으로 공기업 인사에 낙하산은 없다"고 발언한 바 있다. 하지만 21일 일부 공기업 인사에서 여권 출신 인사들을 기용하면서 '논공행상(論功行賞) 식 낙하산 인사'라는 비난에 직면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공석인 수출입은행장 자리를 누가 거머쥐게 될 것인가에 금융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외부 출신 인사가 여럿 거론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내부 인사를 중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낙하산 인사'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전혀 의외의 인물을 승진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기업은행의 권선주 행장 깜짝 발탁과 같은 사례가 수출입은행에서도 이어질 것인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 수은 차기 행장, 누가 거론되기에…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유력 후보로는 허경욱 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대사(행시 22회), 추경호 기획재정부 제1차관(25회), 이석준 기재부 제2차관(행시 26회) 등이 거론되고 있다.

최종구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25회), 권태균 전 아랍에미리트(UAE) 대사(21회), 강호인 전 조달청장(24회), 배국환 전 감사원 감사위원(22회) 등도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이들은 모두 수은을 관할하는 부처인 기재부 출신들이다. 관료 출신 인사들은 수은과 정부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 차관급 이상의 정무직을 거쳤기에, 외부 압력이 생길 경우 방패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른 일각에서는 수은 고유의 업무에 밝은 내부전문가가 행장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작년 말 수은은 수은법 개정과 자기자본 증대라는 큰 숙원을 해결한 바 있다. 수은의 정체성과 역할이 명확해진 만큼 신임 행장은 정무적 능력보다는 내부를 다지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내부 출신로는 은행장 직무를 대행하고 있는 남기섭 전무이사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 '낙하산', '모피아' 오명 벗으려면…

수출입은행장의 선임은 은행법이 아닌 수출입은행법의 절차에 따라 이뤄진다. 따라서 행장후보추천위원회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기획재정부 장관이 제청하면 대통령이 임명하는 자리다. 

이런 특성 때문에, 누가 신임 행장이 되느냐에 따라 '낙하산 인사', '모피아 인사' 등의 논란에 휩싸이기 쉽다.

금융권에서는 이런 논란을 피하기 위해 이번 인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원장은 "이번 수출입은행 인사는 '모피아', '낙하산' 일색의 인사 관행을 바꾸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원장은 "지금까지는 박근혜정부의 인사 풀이 금융위, 기재부 등 관료 출신에만 한정돼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며, "'자기 사람'을 심으려고만 하는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청와대 내에 인사위원회 등을 설치해, 각 부처의 의견을 들어보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신임 행장의 과제는…

앞으로 수은을 이끌어 갈 신임 행장은 우선 산업은행과 정책금융공사 통합과 관련한 정금공 해외부분의 자산과 인력 처리 문제, 자본 확충에 따른 양질의 자본을 확보하는 문제 등을 풀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은 대박'이라고 언급하면서 주목받는 메가 프로젝트인 유라시아이니시어티브, 나진-하산 사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제2개성공단 등 남북협력기금사업을 확대해야 하는 임무도 떠맡게 될 전망이다. 

수은 행장 인선에 금융계가 주목하는 이유가 또 있다. 수은행장은 대외 정책금융 원조의 창구인 까닭에 대통령의 해외 순방을 수행할 기회가 잦다. 대외 원조 등으로 체면을 세울 수 있는 자리에 인사권자와 동석할 기회 역 그만큼 많다. 그 덕분인지 역대 수은 행장들이 장관으로 영전한 경우도 많았다. 진동수 전 행장은 2009년 금융위원장으로, 후임인 김동수 전 행장은 2011년 공정거래위원장으로 발탁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