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내년 1월부터 탄소 배출권 거래제를 강행키로 하면서 재계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최대 배출사업체인 포스코가 '핵폭탄급'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1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재계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환경부는 이달 말까지 할당 대상업체를 지정하고 8월말까지 할당 신청을 받아 10월에는 개별 기업의 배출권 할당량을 정하는 등 절차를 진행해 내년부터 제도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온실가스 배출권이 시행될 경우 국내 기업들은 내년부터 3년간 최소 총 5조9000억원에서 최대 28조원 규모를 부담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업들 가운데 가장 우려되는 곳은 국내 탄소 배출량의 10%선을 차지하고 있는 포스코다. 포스코는 이 제도가 강행된다면 내년부터 3년간 최소 6000억원에서 최대 3조원 선을 추가 부담해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가뜩이나 중국 철강업체들의 공급 과잉에서 시작된 글로벌 철강경기 악화, 신용등급 하락 등 악재에 시달려온 포스코가 탄소 배출권 거래제까지 시행될 경우 경영에 엄청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는 그러나 수년 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예고돼왔음에도 불구, 충분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아오다 '탄소 쓰나미'에 직면하게 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포항 및 광양제철소에 발생하는 대부분의 온실가스는 고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2)다. -
포스코는 지난 2008년 남미 우루과이에 5,500만 달러를 투자해 2만ha를 매입, 조립사업을 시작했다. 숲 조성사업을 통해 배출권을 감축한다는 전략이었다.
또한 포스코는 지난 2010년 '포스코 저탄소녹생성장 비전'을 통해 오는 2020년까지 조강 1t당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원 단위를 2007년~2009년 평균 대비 9% 감축하겠다는 자발적 목표도 세웠다.
이와함께 암모니아수를 이용해 고로 부생가스에서 CO2를 흡수·분리하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고, 궁극적으로는 석탄을 사용하지 않고 탄소 배출이 없는 차세대 제철 공법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 측은 파이넥스(FINEX) 설비를 통해서도 CO2 감축을 추진해왔다. 파이넥스는 포스코가 개발한 친환경 제철 공법으로, 기존 고로 대비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먼지(Dust) 배출량이 각각 19%, 10%, 52%에 불과하다. 포스코 관계자는 "150만t급 파이넥스 공정에서 쇳물 1t을 생산할 때 배출되는 CO2 원단위는 세계 고로 평균 수준보다 3% 낮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포스코의 이같은 노력으로는 실질적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포스코의 지난 2012년 조강생산량과 CO2 배출량은 각각 3799만t과 7700만t이다. 2013년의 경우 3642만t과 7483만t으로 CO2 배출량이 다소 감소한 듯 하나, 조강생산량이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별다른 진전이 없는 셈이다. 조강생산 1t당 배출되는 CO2로 따져보면 2.03t-CO2에서 2.05t-CO2로 오히려 퇴보했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는 "파이넥스 설비를 통해 쇳물을 뽑더라도, 이는 전체 조강생산 비중의 10%도 채 안되는 물량"이라며 "포스코가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로 인해 입는 피해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가 2012년 장하나 민주통합당(현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포스코가 2011년 배출한 온실가스(CO2 포함) 총량은 8076만t으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포스코는 2위권과 비교해도 매년 최대 40% 가량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1년 기준 2위 업체는 한국남동발전으로, 온실가스 배출 총량은 포스코 대비 3000만t 적은 5099만t이다.
재계의 고위 관계자는 "탄소 배출권 거래제 시행으로 포스코가 직격탄을 맞게 된 상황에서 신임 권오준 회장이 기업의 명운을 걸고 타개책을 마련해야 하나, 내부적으로 효과가 확연한 대응책을 도출하거나, 대외적으로 제도 시행 연기를 위한 강력한 활동 등 적극적인 노력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